보험‧대출 등 여전히 어려워… ‘꽉 막힌’ ESS 업계, 그래도 전망은 ‘상한가’
  • 최기창 기자
  • 승인 2019.11.21 08: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스제이 강봉종 대표, “신재생에너지는 글로벌 트렌드”

[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ESS 업계는 잇따른 화재로 갈림길에 섰다. 올해 들어 화재 원인과 안전대책 등을 연이어 발표했지만, 업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평가다.

지난 8월에 열린 ‘전기저장장치 기술기준 공청회’에서는 특히 금융 관련 이슈가 큰 화제가 됐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공개적인 발언을 통해 “ESS 설치와 관련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모든 것이 꽉 막혀있다. 다양한 지원책을 정부가 고민해야 한다. 특히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당시 참석했던 한 정부 관계자가 논의해보겠다고 했지만, 이후 특별한 대책이 마련된 것은 아니다.

에스제이 강봉종 대표도 “ESS 관련 보험과 대출의 경우 어려움이 여전하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특히 각 금융사가 개별 시설의 안전성 여부나 추가 안전 조치 등 세부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있다.

에스제이 강봉종 대표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에스제이 강봉종 대표 [사진=인더스트리뉴스]

강 대표는 “CMI 보험 및 ESS 대출 금융연계는 여전히 난제”라고 표현했다. CMI란 ‘기관기계보험’이라는 뜻으로 사고로 인한 기계, 건물 등에 발생하는 물리적 손해나 손실을 종합적으로 담보하는 시설보험이다.

그는 “ESS 화재 이전에는 일부의 경우 단순 화재보험으로 가입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아니다”라며, “CMI 보험을 인수거부 하거나 보험료가 약 4배 정도 인상돼 사업주가 보험에 가입하기 어려운 구조가 됐다. 보험이 성사되지 않아 대출 실행도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결국 자금 압박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꽉 막힌 혈관 속에서도 일부 기업들은 각 주체와 협력 관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어려움을 해결하고 있었다. 에스제이의 경우 배터리 제조업체, 보험회사 등과의 협약을 맺는 방식을 택했다.

강 대표는 “삼성SDI는 약 2,000억을 투입하는 등 ESS 업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다양한 부분에서 안전성을 높였고, 스위치 안에 마이너스 휴즈를 더 넣기도 했다. 최대한 열 발산을 줄이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소개했다. 더불어 “또한 배터리팩마다 소화기를 장착해 화재 발생 시 즉각 끌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협약을 통해 삼성이 보증하는 시스템을 갖췄다. 또한 한 곳의 보험회사와 협약을 맺었다. 드디어 CMI 보험이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며, “대출 신청부터 승인까지 1주일 정도 소요될 수 있도록 그동안 많은 심혈을 기울였다”고 소개했다.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에게는 단비 같은 소식이다.

다만 아직 아쉬운 점도 있다. 아직 보험 가입이 대출과는 잘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강 대표도 “아쉽게도 현재는 한도가 적다. 개인사업자는 8억까지, 법인은 15억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나 “PV와 ESS를 연계하면 대출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지금도 꾸준하게 개인 사업자의 대출규모를 늘리는 것을 방향으로 삼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ESS 화재라는 변수 속에서도 신재생에너지의 미래는 밝다. [사진=dreamstime]
ESS 화재라는 변수 속에서도 신재생에너지의 미래는 밝다. [사진=dreamstime]

강봉종 대표는 ESS 업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신재생에너지 산업 자체는 세계적으로 긍정적이라고 했다. ‘RE100(Renewable Energy 100%)’ 때문이다. RE100이란 기업이 필요한 전력량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적 재생에너지원을 통해 생산한 전력으로 사용하겠다는 의미의 캠페인이다.

강 대표는 “외국의 경우 2019년 11월 기준 애플과 구글을 비롯해 코카콜라, 스타벅스 등 207개사가 참여했다”며, “지속가능성이 이슈로 부상했기에 재생에너지는 글로벌한 측면에서 시장이 활성화될 수밖에 없다. 소비자의 역할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국내 기업의 RE100 선언도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는 이미 미국과 유럽, 중국 시장에 100% 재생에너지 사용 달성을 선언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국내 생산은 물론 다른 기업들의 RE100도 조만간 이뤄질 것이다. 더불어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형 RE100 제도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산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