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태양광 이슈] 차세대 먹거리 ‘ESS’… 안정성과 경제성 두 마리 토끼 잡을 수 있나
  • 이건오 기자
  • 승인 2019.12.06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 조치 이행 사업장 보험료·대출 등 인센티브 있어야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국내 태양광 계통 한계의 걸림돌을 넘어설 수 있는 솔루션으로 주목받은 ESS는 REC 가중치 및 요금제 등 정부 지원에 힘입어 세계적 수준의 시장을 형성했다. 그러나 국내 태양광 시장 활성화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ESS 산업이 도리어 화재 이슈로 태양광 시장 전체를 굳게 만들었다.

정부는 신속히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마련했다. TF를 꾸리는 등 ESS 화재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안전강화대책을 비롯해 ESS 산업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했다.

[]
업계에서는 얼어붙은 ESS 시장이 다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사진=dreamstime]

REC 가중치 5.0 6개월 연장이라는 소식과 함께 지난 6월 11일,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어 6월 19일, 1,173개 ESS 사업장에 공문을 보내 ESS안전관리위원회에서 권고한 안전조치 사항을 통보하고 3개월 이내 이행결과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이후 ESS 화재는 3건이 더 발생했다. 앞서 언급한 ESS 안전조치사항 이행결과 보고서 제출 현장이 1,173개소 중 94개에 불과한다는 내용의 2019 국정감사가 이뤄져 더욱 이슈가 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얼어붙은 ESS 시장이 다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안전조치와 함께 보험·대출 등 금융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안전조치를 이행한 사업장의 경우, 정부에서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하는 등 인센티브를 고민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민간에서도 ESS 화재를 방지하고 보급 활성화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 솔루션과 기준 마련에 나섰다. 특히, 삼성SDI는 ESS 화재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진 외부 유입 고전압, 고전류를 차단하고 이상 발생 시 시스템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 등을 설치했다. 더불어 기타 예기치 않은 요인에 따른 화재 확산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특수 소화시스템을 추가 적용키로 했다.

LG화학은 국감 등에서 문제로 지목된 2017년 중국 남경산 배터리를 포함한 ESS 사이트의 SOC를 70%로 제한하고 손실 비용을 부담하는 등 선제적 조치를 취했다. 이어 배터리 보호를 위한 모듈 퓨즈 등과 함께 절연에 이상 발생 시 전원 차단을 통해 화재를 예방하는 안정장치인 IMD를 적용하고 있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ESS 전체 시스템에 대한 KS표준을 제정한 정부는 국제적인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동반 성장을 이루고 있는 ESS 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있다. 안전강화 대책 마련과 더불어 실증시험을 통해 확보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향후 ESS 분야 국제표준 제안 등 국제표준화 논의를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각 민간기업의 ESS 화재 이슈에 대한 노력과 정부 주도의 ESS 설치 안전강화 대책이 향후 ESS 산업을 어떻게 이끌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