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탄소제로 이슈] CEMP, CSR 속에서 ‘지속가능성’을 찾다
  • 최기창 기자
  • 승인 2019.12.10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사회·정부·지역 주민 모두 ‘윈윈’, 탄소배출권 확보는 ‘덤’

[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최근 탄소제로 이슈 중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가 바로 CEMP다. CEMP란 ‘CSR & Emission Reduction Matching Platform’의 약자로 기업의 사회공헌사업(CSR) 활동과 지자체, 중소기업 등의 탄소배출권 확보 가능 사업을 연계하는 플랫폼이다.

기업과 사회, 정부, 지역 주민 모두가 이득을 보는 CEMP가 화제다. [사진=dreamstime]
기업과 사회, 정부, 지역 주민 모두가 이득을 보는 CEMP가 화제다. [사진=dreamstime]

기존의 ‘사회공헌활동’은 사회취약계층 지원, 교육 사업 지원, 동물복지 증진 등 일부 활동에만 비중이 쏠려있었다. 이들은 이미지 제고와 지역사회 이익 환원 등 일차원적인 효과에만 그쳤다.

그러나 CEMP는 최근 핫이슈로 떠오른 탄소배출권과 CSR을 연계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속가능경영’이라는 세계적인 트렌드 속에서 기업과 지자체는 물론 주민 등 참여 주체 모두가 이익을 볼 수 있다는 것이 CEMP의 큰 장점이다. 특히 탄소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기업들은 CEMP를 통해 CSR과 탄소배출권 확보라는 문제를 모두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지난 6월 배출권 과부족으로 인한 이월 제한 조치를 공표하기도 했다. 사업장들에게는 발등의 불이 떨어진 셈이다. 더불어 할당배출권(KAU)의 가격도 지속해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CEMP가 기업들에 매력적인 이유다.

물론 기업들만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니다. 기업의 잉여자본이 환경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 이 과정에서 지역 사회에 기업의 이익이 환원된다. 결국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기업, 지역 사회 모두가 이익을 보는 ‘윈-윈-윈’ 효과를 낳는다.

우리나라 기업들에 CEMP는 매우 중요하다. 이유가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도 대표적인 에너지다소비국가인 탓이다. 할당량을 벗어난 온실가스는 시장에서 구매한 ‘탄소배출권’을 활용해야 한다. 이는 곧 기업의 경영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 특히나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전환 속도가 여전히 느린 상황에서 CEMP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 12월 강원도에 안심귀갓길 조성을 위한 LED 보안등 교체 사업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500만원이라는 탄소배출권 기대 수익이 발생했으며, 연간 온실가스 감축도 227tCO2-eq로 집계됐다. 에너지파트너즈와 강원도, 한국전력,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승강기 회생제동장치 보급지원사업’ MOU를 체결했다. ‘승강기 회생제동장치‘는 승강기가 이동할 때 전동기 발전으로 전력을 생산해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사업으로 역시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지역주민들 역시 승강기 전기 요금 절감이라는 혜택을 얻게 돼 긍정적이라는 평가다.

앞으로 CEMP가 사회공헌 트렌드의 한 축으로 거듭날지 관심이 쏠린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