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구조물’ 생산 현장을 가다… 삼덕스틸, “주문부터 생산까지 반나절이면 OK!”
  • 최기창 기자
  • 승인 2020.06.18 14: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력 대거 확충, 태양광 시장 다크호스로 떠올라
삼덕스틸은 최근 태양광 구조물 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던졌다. 태양광 관련 연구소를 확대했고, 토목과 전기 등 전문가도 대거 스카우트 하는 등 기술력 확보에 팔을 걷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삼덕스틸은 최근 태양광 구조물 시장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던졌다. 태양광 관련 연구소를 확대했고, 토목과 전기 등 전문가도 대거 스카우트 하는 등 기술력 확보에 팔을 걷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최기창 기자] 삼덕스틸은 1989년 설립된 삼덕철강이 전신이다. 그동안 30여 년이라는 시간 동안 용융아연도금 강판을 소재로 한 롤포밍 전문 제조기업으로 이름을 알려왔다. 특히 2018년부터는 그동안 쌓은 노하우를 기반으로 태양광 구조물 시장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비교적 후발주자로 평가받지만, 삼덕스틸의 강점은 바로 철강 기업으로 쌓아온 노하우에 있다. 당일 생산과 당일 발송이 가능한 포스맥 C형강 제조라인을 구축한 것이다. 이는 곧 ‘철강회사’의 기술력이다.

최근에는 본격적인 태양광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인력과 구조를 개편하기도 했다. 태양광 관련 연구소를 확대한 것이다. 이와 함께 토목과 전기 등 관련 전문가를 꾸준하게 스카우트하는 등 기술력 확보를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생산 속도 단축을 위한 삼덕스틸의 노력은 공정 첫 단계부터 찾아볼 수 있다. 삼덕스틸의 공장 내부에는 언제나 이렇게 많은 덩어리 코일이 쌓여있다. 항상 코일을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 이후 곧바로 생산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생산 속도 단축을 위한 삼덕스틸의 노력은 공정 첫 단계부터 찾아볼 수 있다. 삼덕스틸의 공장 내부에는 언제나 이렇게 많은 덩어리 코일이 쌓여있다. 항상 코일을 보관하고 있다가 주문 이후 곧바로 생산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생산 지시 이후 한 근로자가 일하는 모습이다. 덩어리 코일의 포장을 벗겨낸 뒤 근로자가 크레인을 통해 코일을 옮기고 있다. 삼덕스틸은 크레인 21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최대 30t의 무게를 버틸 수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생산 지시 이후 한 근로자가 일하는 모습이다. 덩어리 코일의 포장을 벗겨낸 뒤 근로자가 크레인을 통해 코일을 옮기고 있다. 삼덕스틸은 크레인 21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최대 30t의 무게를 버틸 수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크레인으로 옮긴 코일을 설비에 결합하는 모습이다. 이 코일은 이후 펴지는 과정을 거쳐 잘리게 된다. 거대한 코일이 잘린 뒤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30분이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크레인으로 옮긴 코일을 설비에 결합하는 모습이다. 이 코일은 이후 펴지는 과정을 거쳐 잘리게 된다. 거대한 코일이 잘린 뒤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30분이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한 근로자가 코일을 자르기 위해 기기를 조작하는 모습. 그동안 꾸준한 기술개발과 투자를 아끼지 않은 삼덕스틸의 빠른 생산 비법 중 하나다. 삼덕스틸은 슬리팅(Slitting)이 코일 한 개를 자르는 동시에 다음 작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공정을 마련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한 근로자가 코일을 자르기 위해 기기를 조작하는 모습. 그동안 꾸준한 기술개발과 투자를 아끼지 않은 삼덕스틸의 빠른 생산 비법 중 하나다. 삼덕스틸은 슬리팅(Slitting)이 코일 한 개를 자르는 동시에 다음 작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공정을 마련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거대한 코일이 잘리고 있다. 삼덕스틸은 중량과 크기와 관계없이 다양한 코일을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공정 최대 스피드는 250mpm이며, 코일은 순식간에 잘린 뒤 다시 말아지게 된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거대한 코일이 잘리고 있다. 삼덕스틸은 중량과 크기와 관계없이 다양한 코일을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공정 최대 스피드는 250mpm이며, 코일은 순식간에 잘린 뒤 다시 말아지게 된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코일이 잘리고 있는 모습을 다양한 카메라를 활용해 확인하는 모습. 이는 근로자의 안전 확보는 물론 작업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최대 스피드인 250mpm으로 생산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코일이 잘리고 있는 모습을 다양한 카메라를 활용해 확인하는 모습. 이는 근로자의 안전 확보는 물론 작업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최대 스피드인 250mpm으로 생산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잘린 코일은 지게차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간다. 우선 말린 코일을 다시 펼치게 된다. 이후 구멍을 뚫고 이를 구부리게 된다. 물론 이 공정은 연속으로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공정마다 멈춰서 진행하는 다른 회사와는 달리 삼덕스틸은 계속 생산하면서 절단과 타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생산에 걸리는 시간을 줄였다. 이 단계를 거치면 비로소 태양광 구조물의 형태로 거듭나게 된다. [사진=삼덕스틸]
잘린 코일은 지게차를 통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간다. 우선 말린 코일을 다시 펼치게 된다. 이후 구멍을 뚫고 이를 구부리게 된다. 물론 이 공정은 연속으로 이뤄지는 것이 특징이다. 공정마다 멈춰서 진행하는 다른 회사와는 달리 삼덕스틸은 계속 생산하면서 절단과 타공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생산에 걸리는 시간을 줄였다. 이 단계를 거치면 비로소 태양광 구조물의 형태로 거듭나게 된다. [사진=삼덕스틸]
레이저를 활용해 태양광 구조물을 제작하는 모습. 이를 이용하면, 빠른 속도로 절단과 타공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 레이저는 안전을 위해 특수 시설 안에 위치해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레이저를 활용해 태양광 구조물을 제작하는 모습. 이를 이용하면, 빠른 속도로 절단과 타공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 레이저는 안전을 위해 특수 시설 안에 위치해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한 근로자가 태양광 구조물을 제작하는 모습이다. 오랜 시간 ‘철강회사’로 입지를 다져온 만큼 다양한 태양 구조물 생산이 원스톱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삼덕스틸은 체력단련시설과 기숙사를 구축하는 등 근로자를 위해 복지와 안전에도 신경을 썼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한 근로자가 태양광 구조물을 제작하는 모습이다. 오랜 시간 ‘철강회사’로 입지를 다져온 만큼 다양한 태양 구조물 생산이 원스톱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삼덕스틸은 체력단련시설과 기숙사를 구축하는 등 근로자를 위해 복지와 안전에도 신경을 썼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삼덕스틸이 생산한 다양한 태양광 구조물의 모습이다. 삼덕스틸은 철로 이뤄진 태양광 구조물 대부분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삼덕스틸이 생산한 다양한 태양광 구조물의 모습이다. 삼덕스틸은 철로 이뤄진 태양광 구조물 대부분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삼덕스틸 이동재 대표에게 묻다

삼덕스틸 제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철강회사로 출발한 삼덕스틸은 현재 태양광 구조물에 활용되는 철 제품을 모두 생산할 수 있다. 우리의 경쟁력은 스피드에서 나온다. 물리적으로는 반나절이면 전부 가능하다.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덩어리 코일을 미리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산 지시가 내려가면, 30분 이내에 코일을 자른 뒤 다음 공정으로 넘길 수 있다. 다른 공정들 역시 마찬가지다. 멈추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 근로자가 항상 상주하고 있어 불가피한 경우에는 야간에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콜센터를 이미 보유했다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롤체인지가 블록 형태이기에 생산 속도가 훨씬 빠르다.

삼덕스틸 이동재 대표는 "우리의 경쟁력은 스피드"라며, "근로자가 항상 상주하고 있어 불가피한 경우에는 야간에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더불어 콜센터를 이미 보유해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삼덕스틸 이동재 대표는 "우리의 경쟁력은 스피드"라며, "근로자가 항상 상주하고 있어 불가피한 경우에는 야간에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더불어 콜센터를 이미 보유해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빠른 생산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가장 크게 신경 쓴 부분은 무엇인가?

태양광 구조물을 만드는 데 있어 정확한 홀을 뚫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정확한 위치에 맞는 홀을 타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삼덕스틸은 다양한 규격이 홀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췄다. 더불어 이들 공정이 멈추지 않고 이뤄진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실제로 일부 업체는 타공을 할 때나 절단 작업을 할 때 공정이 멈춰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아니다. 멈추지 않고 타공과 절단을 진행할 수 있다. 특수한 형태로 제품 의뢰가 들어왔을 때도 우리가 롤을 직접 설계 및 제작을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우리가 철강회사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철강회사에서 출발해 태양광 시장 진입이 어려웠을 듯하다.

우리는 사실 업계에서 후발업체다. 이쪽 시장에 들어온 지 1년 3개월쯤 됐다. 나름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업체라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굉장히 쉽게 생각했다. 그런데 본궤도에 오를 때까지 필요한 시간이 상당히 고통스러웠다. 기계 세팅, 인력 구성 등에 시간과 자본을 많이 투여했다.

이제는 시장에서도 조금씩 선택을 받고 있다. 그 덕분에 우리 역시 조금 더 발전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긴다. 시험관 제조 기계가 조만간 하나 더 들어올 계획이며, 사각 파이프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이에 맞게 전문 인력도 지속해서 확충하고 있다. 설치 분야를 위해 토목 전문가를 모셨고, 인버터나 모듈 등 전기 관련 기술을 위해서도 인력을 확충했다. 어쩌면 자기주도학습처럼 우리 스스로 인력을 키워서 도전하고 있는 셈이다. 이를 바탕으로 내년쯤이면 설치를 비롯한 태양광에 관한 일관적인 토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태양광 시장에서 날개를 펼칠 삼덕스틸의 성장과 도전에 많은 격려와 응원 부탁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