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관련 DB 자급률 타국 대비 40% 수준에 그쳐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0.10.13 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식품영양기능성분센터’ 설치해 급변하는 식품시장 대응해야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식품산업도 가정간편식 등으로 급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식품 관련 당국의 데이터 확보 및 서비스 개선 의지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승남 국회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은 피감기관인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업과 식품의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농업 중심으로 편중된 농식품 R&D사업을 개선하고, 농산물을 포함한 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및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식품 소비(식생활)의 다양화로 식품성분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 관련 분석, 데이터 가공 인력 및 서비스의 한계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사진=dreamstime]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식품 소비(식생활)의 다양화로 식품성분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 관련 분석, 데이터 가공 인력 및 서비스의 한계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사진=dreamstime]

농촌진흥청은 국민의 건강 유지, 올바른 농식품 영양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70년부터 농식품 영양성분 DB를 구축해 왔다. 5년 주기로 국가식품성분표(2021, 10개정판 예정)를 발간하고 2019년부터 매년 대국민 공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식품성분 DB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식품원료 4,900종 대비 약 30%의 데이터만 확보돼 있다. 이 중 16%도 외국 데이터를 인용한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미국 대비 40%에 불과해 국내 영양성분 분석 데이터 자급률이 선진국 대비 뒤처지고 있다. 한국은 식품수 3,088점(영양성분 수 130)인데 반해 미국은 7,793점(144성분)을 확보했다.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식품 소비(식생활)의 다양화로 식품성분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현재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 관련 분석, 데이터 가공 인력 및 서비스의 한계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김승남 의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 등 식생활 변화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국민건강 증진과 바람직한 식품소비·식생활 정착, 산업적 활용 및 농업의 부가가치 상승을 위해 농촌진흥청이 식품성분데이터 관련 연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질의했다.

김 의원은 “농촌진흥청 내 식품성분 데이터 생산 관리를 위한 국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식품성분 분석 확대 및 디지털정보 생산을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국가표준식품성분 DB는 농식품부(농산물수급조절), 식약처(식품안전나라 영양정보 서비스), 보건복지부(국민건강통계, 한국인영양섭취기준설정), 교육부‧국방부‧법무부(단체급식)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병원 환자식 개발, 식이섭취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 가전 개발, 검색포털 영양정보 서비스, 온라인 유통 및 수출 농산물 영양표시 등의 산업진흥 부문에서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