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안정성 높이는 태양광, 전력생산 넘어 전력중개 시장 ‘활짝’
  • 정한교 기자
  • 승인 2021.02.03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전량 예측 통해 계통 안정성 향상 및 VPP 활성화 기대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2017년 대비 폭락 수준으로 떨어진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REC) 가격으로 인해 상당수 기존 사업주들이 발전사업 포기를 고려하거나 태양광 사업에 관심을 가진 신규 투자자들은 발길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3만4,000원 수준까지 하락했던 REC 현물가격이 2021년에 들어서며 소폭 상승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신재생 원스톱 사업정보 통합포털’이 분석한 REC 거래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만5,122원을 기록했던 REC 현물 평균가격이 2021년 1월 3만9,029원을 기록한(1월 26일 기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흐름에 대해 기존의 발전사업주들은 초기 투자금만이라도 회수하겠다는 생각이지만, 이마저도 힘들다는 사업주들이 많다.

최근의 국내 태양광 시장은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고, 거기서 생산한 전기를 판매한다’는 단순한 수익구조를 형성했던 건설 시장 개념을 벗어나 전력중개, 가상발전소(VPP) 등 고도화된 요소가 점차 시장에서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사진=utoimage]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4만원 선을 유지하던 REC 가격이 11월부터 급격히 하락하며, 3만원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2021년 들어 소폭 상승하는 모습이지만, 태양광발전을 통한 수익성 확보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지속적인 REC 하락은 지난 몇 년간 국내 태양광 시장을 관통하는 주요 이슈로 자리잡아왔다. 이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주들의 사업진행에 ‘수익성 악화’라는 적색경고등이 켜졌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REC 하락의 원인으로 수급 불균형을 꼽는다. 빠르게 증가하는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를 REC 수요가 따라가지 못해 비정상적인 폭락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약 2,700만REC였던 RPS 의무 이행량에 반해, 실제 공급량이 약 3,200만REC를 기록했다. 이러한 초과 공급은 2017년부터 꾸준히 발생했고, REC 판매를 못하는 사업주들도 나타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3만원 대 REC는 꿈에서조차 상상 못한 일”이라며, “이제 투자비 회수는 커녕 적자를 걱정해야 할 처지”라고 현재 태양광 발전사업주들이 처한 어려움을 토로했다.

새로운 수익구조 찾는 태양광 산업

이러한 REC 하락과 함께 난개발, 환경파괴로 인한 임야태양광에 대한 가중치 하락과 각종 규제 등이 더해지며, 초기 태양광 시장의 부흥을 이끌었던 임야태양광은 사업진행 자체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분양사기, 불법대출 등으로 인한 피해사례도 투자열기를 낮추는데 상당량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최근의 국내 태양광 시장은 그동안 보여줬던 부정적 요소를 최대한 걷어내고자 노력하는 모습이다. 임야를 넘어 새로운 부지를 찾아 나섰고,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하고, 거기서 생산한 전기를 판매한다’는 단순한 수익구조를 형성했던 건설 시장 개념을 벗어나 전력중개, 가상발전소(VPP) 등 고도화된 요소가 점차 시장에서 비중을 높여가고 있는 것이다.

정부 역시 이러한 시장 트렌드에 대응하고자 지난해 ‘그린뉴딜’ 정책 발표와 함께 △에너지신산업 육성 △관련 제도 개선 △에너지 분야 투자규모 확대 등의 후속 지원 방안을 마련하며, 산업 육성을 위한 지속적인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소규모 태양광발전, 발전량 예측해 추가 수익 얻는다

2021년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가장 높은 기대를 받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오는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정산금’ 도입이다. 이를 통해 국내 태양광 시장에 전력중개 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고, 전력중개사업자와 발전사업주가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발전량 예측제도는 20MW 이상 태양광 및 풍력 발전사업자 등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하루 전에 미리 예측해 제출하고, 당일에 일정 오차율 이내로 이를 이행할 경우 정산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20MW 이상 태양광 및 풍력 발전사업자, 또는 1MW 이하 태양광·풍력을 20MW 이상 모집한 집합전력자원 운영자(소규모 전력중개사업자)를 참여대상으로 모집한다. 참여조건은 참여 사업자 예측능력의 신뢰성 담보를 위해 등록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1개월 동안 평균 예측오차율 10% 이하가 등록시험 통과기준이며, 정산기준은 예측오차율이 8% 이하인 경우, 태양광·풍력은 발전량에 3~4원/kWh의 정산금을 지급한다.

발전량 예측제도는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예측능력을 제고함으로써 재생에너지 변동성으로 인해 발전기를 추가 기동·정지하거나 증·감발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등 보다 효율적인 전력계통의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발전량 예측을 위한 기상정보의 수집·처리·활용,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한 실시간 정보 취득, 전기저장장치 등을 활용한 발전량 제어 등 새로운 사업모델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발전량 예측제도 시행안 발표 당시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 관계자는 “예측제도를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능력을 키워 재생에너지 변동성으로 발전기를 추가 기동·정지하거나 증·감발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등 효율적인 전력계통 운영이 기대된다”며, “발전량 예측을 위한 기상정보의 수집·처리·활용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통한 실시간 정보 취득, 전기저장장치를 활용한 발전량 제어 등 새로운 사업모델 확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4월부터 도입 예정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 정산금’은 국내 태양광 산업에서 전력중개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진=utoimage]

VPP 활성화, 안정적인 태양광발전 운영 기대

가상발전소(VPP)는 발전량 예측제도 정산금 도입으로 인해 본격적인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게 하는 분야이다. VPP는 발전설비와 전력수요를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분산돼있는 자원을 묶은 후 이것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 및 운영하며 전력시장에서 거래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예측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 소규모 전력중개 시장에서는 O&M과 전력거래 업무대행이 주요 업무였다면, 앞으로의 시장은 발전량 예측기술을 활용해 보다 더 효율적인 전력계통 운영으로 무게추가 이동하는 것이다.

솔라커넥트 신사업개발팀 이근용 이사(CBO)는 “국내 VPP 시장은 이미 성숙한 단계의 수요기반 수요반응자원 거래시장에 비해 공급기반 전력중개시장은 미흡한 상황”이라며, “발전량 예측제도 정산금 제도가 VPP 시장을 활성화하는 도화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다수의 분산자원을 원격 통합해 최적화한 형태로 운영하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의 환경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미 미국·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분산형전원의 실시간 제어 및 최적화 기술을 적용한 VPP 모델이 경제성을 갖춰 에너지 시장의 분산화를 실현하고 있다.

정부 역시 VPP 시장 활성화를 위한 뒷받침에 나섰다. 지난해 11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안)’에 대한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며, 분산에너지 친화적인 시장제도로의 개편을 추진한다.

시장 활성화에 발맞춰 공기업 및 민간기업의 시장 참여를 위한 움직임도 활발하다. 한국에너지공단은 남동발전과 함께 ICT 기반 신재생에너지, ESS 등을 통합 관리하는 VPP 개발을 추진 중이며, 한국수력원자력도 솔라커넥트, IMM인베스트먼트 등과 ‘소규모 태양광 VPP 사업개발을 추진 중이다. 민간기업들의 자체 소규모 태양광 VPP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면서 점차 국내 태양광 시장 VPP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상황이다.

에이치에너지 함일한 대표는 “가상발전소는 곧 은행”이라며, “분산돼 있는 개인의 돈을 은행이 통합해 운영관리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함 대표는 “태양광발전에 투자를 하는 이유는 수익을 얻기 위해서지, 발전소를 건설하고 운영하는 법을 배우기 위한 투자가 되면 안 된다”며, “VPP 활성화로 태양광 시장이 고도화되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리스크를 관리하고, 투자자는 자본투자에만 집중하는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뱃머리 돌린 태양광 개발 시장, 주민수용성 확보가 관건

태양광 사업에 진행에 있어 REC 하락이라는 불안요소가 점차 몸집을 키워감에 따라 발전량 예측제도, VPP 활성화 등 안정적인 자본 운영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나는 것처럼 건설 중심의 태양광 시장에서도 이전과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2034년 84.4GW(25.8%)를 목표로 하는 정부 계획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양의 재생에너지 설비구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최근 가장 활발한 투자 문의가 이뤄지는 태양광 산업으로는 ‘지붕형태양광’ 시장이 꼽힌다. 타 부지 대비 쉬운 인허가 및 높은 가중치 등의 장점을 무기로 최근의 태양광 시장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는 사업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부지 확보에 있어 유휴부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주민수용성 확보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없다.

해줌 박영훈 태양광사업실&VPP TFT 영업총괄이사(CCO)는 이에 대해 “산단 등 건물 지붕에 태양광발전소 설치 시 기본적으로 REC 가중치가 1.5배”라며, “사업진행이 빠르다는 점과 함께 정부의 금융지원사업을 활용, 장기대출을 통해 초기사업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점이 지붕형태양광의 인기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역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올해 약 2,000억원을 산단태양광 금융지원 사업비용에 배정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공장주나 해당 대상지 임차인 등에게 태양광 설치비용의 최대 90%까지 장기저리의 금융자금을 지원한다.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발맞춰 기업들 역시 다양한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며, 활발한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솔라커넥트 비즈니스IT팀 김태호 이사(CPO)는 “3, 4년 전만 해도 공장 지붕에 태양광발전소 설치 시 금융지원이 잘되지 않아 사업진행이 쉽지 않아 부지 확보에도 애를 먹었다”며, “정부의 금융지원으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면서 최근 잠재돼 있던 공간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이사는 “RE100 확산 등 자가소비에 대한 요구도 많아지기 때문에 계통연계의 불안전성도 공장 지붕은 수월한 편”이라며, “공장 소유 사업주뿐만 아니라 공장을 임차해 사업을 진행하려는 사업주 등 공장 지붕에 대한 사업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어 기업들도 고객 상황별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의지가 국내 태양광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는 의문이다. 애초 사업추진에 있어 그동안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발생했던 부정적인 요인이 적용되지 않던 지붕형태양광 시장에 비해 난개발로 인한 환경파괴, 주민수용성 부족 등 부정적 요인이 적용되는 부지에는 미흡한 대책마련으로 인해 여전히 사업진행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정부가 올해 3,205억원을 배정해 대규모 금융지원에 나선 ‘농촌태양광’을 들 수 있다.

각종 규제에 손발 묶인 농촌태양광

농촌태양광 추진의 일차적인 목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농가 소득 증진’이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각종 규제로 인해 농촌태양광 사업은 시작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현재 농촌태양광 진행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농지법, 각 지자체별 조례 등으로 인해 사업추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라며, “물론 사업진행에 있어 금융 해결은 필수적인 조건이지만, 손발이 묶인 상황에서 금융지원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고 현재의 농촌태양광 상황을 설명했다.

농지 잠식이라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최근 농촌태양광의 대안으로 영농형태양광이 떠오르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김승남 의원이 농업진흥구역 내 영농형태양광 설비 허용을 내용으로 하는 ‘농지의 보전과 이용에 관한 법률(농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지만, ‘농지훼손’이라는 농민단체의 거센 반대에 부딪친 것이다.

부처별, 지자체별 서로 다른 입장 차이도 사업추진을 어렵게 한다. 적극 장려하는 정부에 반해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지보전’, ‘농촌진흥구역 사수’라는 기조 아래 매우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제도적 기반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졸속한 사업추진이 어떠한 부작용을 낳았는지 충분히 경험했음에도 아직까지 이러한 정책적 지원이 미흡한 모습이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농촌 지역 태양광 사업추진에 있어 관련 지자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환경훼손 방지, 주민수용성 확보를 위해서는 마을단위 사업이 추진돼야 하며, 지자체의 행정적 지원 아래 공공사업 개념으로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REC 하락으로 인해, 초기 태양광 시장에 비해 수익성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아직까지 태양광만큼 안정적으로 수익을 제공하는 투자수단은 찾아볼 수 없다고 최근의 시장상황을 평가했다. [사진=utoimage]

태양광, 지속적인 REC 하락에도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수단

여전한 REC 하락은 태양광 사업진입에 관심 있는 예비 사업자들에게 투자를 망설이게 하는 불안요소로 남아있다. 초기 태양광 시장부터 사업을 시작한 기존 발전사업주들 역시 수익성 악화를 넘어 마이너스 운영을 걱정해야하는 상황까지도 우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업계 관계자들은 여전히 좋은 투자수단으로 태양광 산업이 매력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초기에 비해 수익성은 많이 줄어들었지만, 태양광만큼 안정적으로 수익을 제공하는 투자수단은 찾아볼 수 없다는 평가다.

더욱이 최근 정부가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발표를 통해 REC 안정화 움직임에 나서며, 수익성 개선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2034년까지 RPS 의무비율을 40%까지 상향해 공급의무자 확대를 검토하고, 올해부터는 일반기업도 REC 구매를 가능하게 했다. 이로 인해 수요시장의 대폭 증가를 기대케 하고, 공급과잉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해 REC 안정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솔라커넥트 김태호 이사는 “태양광발전 설치용량은 해마다 증가 중이며, 사업성 검토를 문의하는 예비 개인사업자들도 꾸준한 상황”이라며, “다른 투자수단에 비한다면, 여전히 태양광발전은 투자수익률이 큰 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