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맏형 ‘태양광’…공급망 확장해 해외 신시장 두드려야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1.08.04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태양광 수출 90% 미드스트림 위주…인도, 베트남 시장 등 다운스트림 진출 필요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세계 각국이 태양광 설비 투자를 늘리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태양광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공급망 확장과 신시장·신사업 개척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박천일)은 8월 5일 발표한 ‘글로벌 태양광 시장동향 및 우리기업 진출 전략’에서 이 같이 제안하며, 우리나라의 태양광 산업 대부분은 미드스트림에 집중돼 있어 인도 베트남 시장 등 다운스트림 진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20년 우리나라의 태양광 품목 수출은 15억1349만달러로 이 중 91.3%가 미드스트림 부문인 전지와 모듈이 차지했다. 2017년까지는 업스트림 비중이 38.4%에 달했으나 중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에 크게 밀리면서 2020년 8.7%로 급감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우리나라 태양광산업의 전략으로 인도, 베트남 등의 다운스트림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진=utoimage]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우리나라 태양광산업은 앞으로 인도, 베트남 등의 다운스트림 시장에 진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사진=utoimage]

태양광 공급망은 크게 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다운스트림으로 구분된다. 업스트림은 소재 및 원재료 공급에 가까운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등이 포함된다. 다운스트림은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공·유지보수 시장으로 이뤄져있다. 미드스트림은 태양전지 및 태양광 모듈이 대표적이다.

보고서는 “전지 및 모듈에 집중된 우리 기업의 태양광 공급망 참여를 확장해야 한다”며, “특히 태양광 발전소 유지 및 보수 등을 포함하는 다운스트림은 사물인터넷(IoT)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기업이 강점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되는 사업 분야로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글로벌 태양광 시장 진출 전략 [자료=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글로벌 태양광 시장 진출 전략 [자료=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태양광 진출 유망 시장으로는 인도, 베트남, 미국, 호주 등을 꼽았다. 인도는 향후 5년 내 전 세계 태양광 발전량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베트남은 발전차액지원제도(FIT)에 힘입어 아세안 태양광 시장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미국, 호주는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가정용 태양전지 및 모듈 수요가 높다.

보고서는 “인도와 베트남은 송전망 용량이 태양광 발전량에 미치지 못하므로 국내 그리드 기업과 공동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도시화율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어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며, “미국, 호주 등 태양광 성숙시장에서는 모빌리티, 가상발전소 등 태양광 활용 신사업 진출 및 폐모듈 활용 전략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무역협회 전략시장연구실 조의윤 수석연구원은 “원가 절감에 성공한 중국기업이 글로벌 태양광 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나 미국, 인도 등 중국과 갈등을 겪는 국가를 중심으로 우리 기업의 진출 여력이 점차 확대될 수 있다”며, “탄소국경세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태양광 시장은 지금보다 더욱 빠르게 성장할 전망인 가운데 차세대 고효율 전지 개발 등 기술력 향상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2020년 글로벌 신규 재생에너지 설비 중 태양광의 비중은 전체의 절반을 넘는 54%다. 투자 규모면에서도 태양광이 전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의 44.8%인 1265억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