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구매·제도개선… “2022년 협동로봇 시장 판 커진다”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1.11.25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업체와 겨룰 경쟁력 지속 키워야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커피 제조하는 로봇은 더 이상 놀랍지도 않다. 닭 튀기는 로봇, 마사지하는 로봇, 서빙 로봇 등 다채로운 협동로봇이 뉴스를 장식한 한 해였다.

사실 협동로봇은 제조분야에서 계속해서 활약상을 이어가고 있다. 까다로운 CNC 머신텐딩(Machine tending) 등 태반이 반복 작업 범주에 속하는 제조현상에서 협동로봇이 생산성을 높이는 일등 공신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행법에 따라 협동로봇 도입시, 산업용 로봇과 같이 1.8m 이상의 안전펜스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사진=utoimage]

수치를 놓고 보면 협동로봇 시장은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시장 규모는 2021년 12억달러(약 1조4,000억원)에서 연간 43.4%(CAGR) 증가해 2027년 105억달러(약 1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기준 753억달러(약 85조원)로 추산되는 산업용 로봇 시장과 비교하면 협동로봇은 이제 막 꽃을 피우려고 하는 개화하는 시장이다. 협동로봇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이유는 투자 부담이 적다는 데 있다. 세계적으로 산업용 로봇이 5만~8만달러 대(수반되는 시스템 제외)로 형성돼 있는데 반해 협동로봇은 2만5,000~5만달러 가량으로 저렴하다. 
 
주요 공급업체들은 유니버설로봇(덴마크), 테크맨로봇(대만) 등으로 두산로보틱스, 현대로보틱스 등 국내기업들도 눈에 띈다. 조사 보고서는 아태지역 특히 중국의 가파른 성장세를 내다봤다. 인건비가 상승하고 있는 이들 지역은 협동로봇을 대안책으로 택한 것이다. 특히, 중국 시장의 경우 글로벌 공급업체들이 엘리펀트로보틱스, 엘리트로봇, 시아순 등 중국 업체들의 맹추격에 설자리를 잃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협동로봇은 진화하고 있다. 자율주행로봇(AMR) 등 모바일 로봇과 융합하거나, 비전 시스템이 탑재돼 활용도를 높이는 사례도 관측된다. 특히, 하중이 20, 25kg 등 산업용 로봇에 필적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3, 5kg 하중을 운반하는 협동로봇이 시장 수요가 높다는 점에서, 산업용 로봇보다 가격, 성능 등의 경쟁력이 있어야 시장을 매료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관전평이다.

공동구매 시동, 제도 개선 시그널 나와

국내 시장은 전반적으로 내년도의 호황세를 점쳤다. <인더스트리뉴스>는 11월 2일부터 16일까지 협동로봇 시장조사를 진행했다. 반도체·전자·디스플레이·전기 등 분야 업체가 20%, 자동차 21.2%, 조선·철강 13.4%, 식음료 13.3%, 제약·바이오 6.7%, 석유·화학 4.7%였다. 이들 업체들의 매출은 10억원 이하 13,3%, 50~100억원이 46.7%, 200~500억원 20%, 500~1,000억원 6.7%, 1,000억원 이상 6.7%로 나타났다. 

올해 매출이 2020년 대비 늘었다는 업체는 50%, 동일 26.7%, 매출이 줄었다는 업체가 13.3%였다. 이는 정부 및 지자체의 스마트팩토리 보급 정책 확대(44.4%), 해외시장 개척으로 인한 수요 증가(22.2%), 국내 시장 관심도 증가(22.2%), 신제품 및 기술 출시로 관심 고조(11.1%)에 기인한 매출 신장으로 판단했다. 매출 감소의 이유로는 코로나 팬데믹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감소가 33.3%, 델타변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30%, 과도한 경쟁 업체 난립 16.7%, 국내 시장 자체의 관심도 저하 16.7% 순이었다. 

내년 시장은 청신호가 강했다. 대부분 업체들(80%)은 매출이 5~10%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전년과 동일하다는 반응이 13.3%, 매출이 감소할 것이라는 시각은 6.7%에 그쳤다. 

2022년 협동로봇 관련 가장 큰 이슈를 묻는 질문에 제조, 물류로봇 등 시장 확대 46.7%, IT 등 융복합 기술의 확산 26.7%,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확산 정책 20%, 제조기업들의 투자 심리 개선 6.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공급업체들은 2022년 로봇 시장의 성장세를 내다보는 시각이 짙었다. [자료=FA저널 스마트팩토리]
국내 공급업체들은 2022년 로봇 시장의 성장세를 내다보는 시각이 짙었다. [자료=FA저널 스마트팩토리]

이와 관련해 공급기업의 내년도 전략은 신규 수요 발굴 46.7%, 기술개발로 가격 경쟁력 확보 20%, 신제품 출시 20%, 신사업 진출, 대형 및 장기사업 입찰이 7.6%로 나타났다. 

이처럼 기업들은 시장을 낙관하며 판로개척에 나설 채비중이나, 갈수록 경쟁이 격화되고 있어 쉽지 않아 보인다. 국내에서는 한화정밀기계, 두산로보틱스 등 대기업을 비롯해 뉴로메카,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중견·중소기업들이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규모를 막론하고 새로운 공급기업들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시장 규모에 비해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국내 유수 업체 관계자는 “국내 시장은 절대적인 규모가 작아, 되레 해외 시장 매출이 더 낫다”고 평가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20여 년 동안 십 수 조원 이상을 투자했지만 여전히 시장이 미흡한 상황이다. 기술개발이 아니라 몇몇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함이 아니냐”며 진위를 따져봤으면 했다. 그는 “정부 지원에 의존도가 큰 상황에서 삼성전자, 현대차와 같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협동로봇 업체가 나오기 요원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가 로봇미래전략(2013~2022년) 등 정책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좀처럼 체감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시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최근 로봇공동구매가 진행되고 있다.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규모의 경제로 기업들의 마음을 열어보겠다는 복안에서다. 현대로보틱스, 트위니,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로봇을 최소 5%에서 최대 40%까지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글로벌 기업의 협동로봇에 비해 이미 국내 제품이 30~40% 가량 저렴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파격적이다. 주관 기관인 한국로봇산업협회는 인증 등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제품을 선별하며 옥석을 가려 나겠다는 방침이다.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행법에 따라 협동로봇 도입시, 산업용 로봇과 같이 1.8m 이상의 안전펜스 구축이 요구된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로 지정된 대구시가 마중물 역할을 해 제도개선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한국로봇산업협회 조영훈 이사는 “최근 식음료 분야에서 협동로봇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식음료 시장 자체도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 협동로봇이 개척하지 못한 새로운 시장도 광활하다”며, “산업을 키우는 방식은 기술혁신과 제도적 뒷받침이다. 협회 회원사 10개 중 8개사는 스스로 기술개발을 통해 고성장을 일궜다. 협동로봇 시장을 더 열어젖히기 위해서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수반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