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위한 ESG 확산 나선다…기후예산제 전면 시행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2.05.07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시 ESG 지표 확대‧신설, 녹색제품 구매비율 70%까지 확대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최근 기업은 물론 사회적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ESG 경영이 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시가 ESG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나선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로, ESG 경영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을 고려하는 기업 경영을 뜻한다.

서울시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ESG를 공공, 민간 부분에 걸쳐 확산시킨다. [사진=utoimage]
서울시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ESG를 공공, 민간 부분에 걸쳐 확산시킨다. [사진=utoimage]

최근 국내‧외 기업들은 ESG 투자 확대를 발표하고 RE100‧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미래성장전략으로 ESG 경영을 선택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국제 ESG 투자규모는 40조5,000억 달러로, 2012년(13조3,000억) 대비 3배 이상 성장했다.

기후예산제 전면 도입

서울시는 우선 지난해 3개 본부‧국에 시범 도입한 ‘기후예산제’를 올해부터 시정 전 분야에 전면 도입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다. 기후예산제는 예산 사업별로 온실가스 배출영향을 분석해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되는 사업은 확대하고, 배출이 예상되는 사업은 규모를 축소하거나 배출 상쇄방안을 마련하는 제도다.

예컨대 전기차 보급, 녹지 확충 등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감축사업’에 해당돼 예산 편성에 우선 반영하고, 연료소비를 증가시키는 ‘배출사업’은 저감방안을 포함하는 예산안으로 감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서울시는 2021년 3개 본부‧국(기후환경본부, 푸른도시국, 물순환안전국)에 기후예산제를 시범 도입했으며, 올해 125개 사업에 3,725억원을 기후영향사업으로 분류했다. 이를 통해 99만t의 온실가스 감축이 예상된다.

매년 시행하는 26개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경영평가에는 ESG 관련 지표 반영을 추진한다.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녹색제품 구매실적, 제로웨이스트 추진실적 등을 평가지표로 설정해 투자·출연기관의 ESG 경영을 강화한다.

공공기관 녹색제품 의무구매도 확대한다. 서울시의 녹색제품 구매심사 기준을 현행 70만원 이상에서 50만원 이상으로 강화한다. 서울시 녹색제품 구매액의 71%를 차지하는 건설‧토목 분야는 구매실적을 집중 관리해 의무구매 비율을 2021년 32.6%에서 2026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ESG 경영에 앞장서는 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견인한다. 지난해 시금고 지정 평가항목에 ESG를 반영한 ‘녹색금융 이행실적’을 신설한 데 이어, 공사‧물품‧용역 등 계약이나 민간위탁시 ESG 우수기업을 우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기업 중심의 ESG 경영이 중소기업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에 대한 친환경‧ESG 컨설팅도 확대 지원한다.

서울시 유연식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는 동아시아 최초로 C40로부터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행동계획을 인증받는 등 기후변화 대응에 힘써왔다”며, “탄소중립으로 향하는 길에 기업, 시민과 협력해 ESG 생태계를 조성하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