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기반 전력 비즈니스 기대감 심화… ‘화재’ 트라우마 여전
  • 최용구 기자
  • 승인 2023.04.27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통과 앞둬… 한국ESS산업진흥회, VPP 사업 수익 창출 방안 논의

[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통과를 앞두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올해 하반기까지 분산에너지 확대 가속화를 추진한다. 27일 건국대학교에서 열린 ‘ESS 비즈니스 심화 세미나’(이하 세미나)에서 산업부 박상희 신산업분산에너지과 과장은 “오는 5월 중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꼭 통과돼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국ESS산업진흥회는 27일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ESS 비즈니스 심화 세미나’를 진행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이날 세미나는 한국ESS산업진흥회가 주최했다. 세미나장에는 산업부 관계자와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종배 교수,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최종웅 대표이사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분산에너지는 각 지역에서 생산한 전력을 해당 지역에 소비하는 방식이다. 이는 전력산업에 대한 변화의 목소리를 반영한다. 전력 공급 방식이 기존 화석연료, 원자력 등 대규모 설비 기반에서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분산형으로 바뀌고 있으니 거래 시장도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송·배전망 구축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의 핵심은 한국형 통합발전소(VPP)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정착이다.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전력 생산은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다. 그만큼 정해진 전력을 일정하게 공급받기 힘들다. 재생에너지가 보편화하려면 ESS와의 연계가 필수다.

전력을 ESS에 저장한 뒤 태양이 비치지 않거나 바람이 약할 때 꺼내 쓰면 전력 공급의 불안정을 줄일 수 있다. 전력품질이 떨어질 경우에도 대비가 가능하다.

산업부 박상희 신산업분산에너지과 과장이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ESS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글로벌 ESS 시장규모가 2019년 11.1GWh에서 2025년 94.2GWh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IEA 조사에 따르면 2019년 1.6GW였던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시장규모는 2021년 6.4GW를 넘어섰다. 미국이 2.9GW로 가장 컸으며 중국(1.9GW), 유럽(1.0GW)이 뒤이었다.

건국대학교 박종배 교수가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다만 기술적 불안정은 성장잠재성을 흔드는 리스크다. 그간 수차례 화재사고가 터지며 불안을 키웠다. ESS는 전력을 계통과 연계하는 장치와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동작 과정에서 높은 열이 상시 발생하기 때문에 열관리가 중요하다.

앞서 정부는 제조, 설치, 운영 등 단계별 안전관리 강화 방침을 내놨다. 신규설비의 충전율 제한을 의무화했으며 ESS 화재안전성 검증센터를 짓고 있다. 다만 불안을 떨칠 만한 이렇다 할 대책은 아직 제시하지 못했다.

산업부 박상희 과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ESS 산업 활성화의 첫째는 안전”이라면서도, “뚜렷한 안전대책은 아직 나오질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부처 내 다른 부서와 협의를 통해 조만한 ESS 활성화 및 안전 대책을 묶어 발표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최종웅 대표는 “최신 기상정보에 기반한 발전량 예측정보가 업데이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산업부에 따르면 배터리 기반 ESS 활성화 방안을 담은 종합계획이 7월께 마련될 예정이다. 분산에너지를 토대로 한 VPP 시범사업도 제주를 시작으로 하반기 쯤 본 궤도에 오른다. 업계는 ESS 제도 개선에 대비한 에너지 거래 등 비즈니스 창출 방안을 내놓고 있다.

건국대학교 박종배 교수는 “ESS사업은 민간 중심으로 추진돼야 한다”라며, “보급 촉진을 위해 정부는 투자세액공제(ITC) 등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기준 정립과 보험 등 책임부과 시스템도 구축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최종웅 대표는 “현재 전력거래소는 다음날 전력수요를 1시간 단위로 예측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데 이같은 ‘하루전 시장’만 존재하는 한계를 벗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하루전 시장에선 수시로 바뀌는 재생에너지의 출력 변동성을 전력 가격에 정확히 반영하기 어렵다”라면서, “최신 기상정보에 기반한 발전량 예측정보가 업데이트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실시간 전력 수급 상황을 반영한 정확한 전력 가치 보상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