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태양광 시장전망] 2021년 ESS 시장, 화재 이슈 및 REC 등 꼬인 매듭 풀어야 회복
  • 이건오 기자
  • 승인 2021.01.03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계, ESS 통합 정책 추진할 컨트롤타워 요구 많아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지난해 국내 ESS 시장은 심각한 위기의 시간을 보냈다. 글로벌 ESS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 얼어붙은 국내 ESS 시장의 체감온도는 더 차다.

2017년부터 급격히 확대된 국내 ESS 시장은 2018년 기준 누적 3.6GWh로 글로벌 시장의 1/3을 차지할 만큼 크게 성장했다.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REC 가중치 부여 및 특례요금제 등 정부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빠른 성장 과정에서 화재 이슈와 같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겼다. 화재 이슈 이후 ESS 시장은 배터리 수급 불안정, 금융 투자 부재, REC 가격 폭락 등 계속해서 이어지는 혼란 속에 고사 직전에 놓여있다.

2020년 ESS 시장 평가 및 2021년 시장 기대 평가[자료=인더스트리뉴스]

국회에 제출된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 설치된 전국 2,373개 ESS 사업장 가운데 436곳(18.4%)이 가동중단 상태에 있으며, 용도별 중단 현황을 보면 재생에너지 연계에서 태양광 28곳(23.1MWh), 풍력 2곳(1.5MWh)으로 총 30곳(24.6MWh)이 문을 닫았고 피크저감 373곳(406.6MWh), 비상발전등 33곳(131.1MWh)등 406곳(537.7MWh)이 폐쇄됐다.

현재 ESS에 대한 제조 및 운영이 심각하게 위축된 상황이고 신규 투자는 전무하다. 본지에서 진행한 태양광 분야별 시장조사에서도 ‘ESS 시장’에 대한 평가는 박했다. 2020년 ESS 시장에 대해 부정적 평가로 답한 응답자는 50.7%, 긍정적 평가는 22.5%로 나타났고, ‘2020년 대비 2021년 ESS 시장에 대한 기대 평가’는 부정적 평가가 32.6%, 긍정적 평가가 33.2%로 조사됐다. 올해 전망에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이 소폭 늘었으나, 그린뉴딜 등의 영향으로 긍정적 평가가 눈에 띄게 늘어난 다른 분야와 대조되는 평가였다.

ESS 시장 회복의 관건은 ‘화재에 대한 확실한 대책’ 마련

ESS 산업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관점에서 계통 안정화를 위한 필수 요소로 주목받으며 성장해왔다. ‘제2의 반도체’로 불리며 차세대 먹거리 산업으로 기대감도 높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화재 이슈 이후 급제동이 걸렸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ESS 시장 규모는 2019년 3.7GWh로 2018년 5.6GWh보다 33.9% 감소했다. 글로벌 ESS 시장이 같은 기간 11.6GWh에서 16GWh로 37.9% 성장하는 사이 국내 시장만 역성장했다. 지난해 시장 규모는 2019년과 비교해 80% 이상 축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ESS 시장의 회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에 대한 시장조사에서도 ESS 화재에 대한 확실한 대책 마련과 부정적 인식 개선에 대한 답변이 많았다. △ESS 화재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39.5% △정부의 일관된 장기적 지원 정책 28.6% △안정성 개선된 차세대 배터리 및 솔루션 개발 21.2% △민간 중심의 성장 생태계 조성 8.9% △운영환경 관리에 대한 인증 및 표준 가이드 제시 1.8% 순으로 응답이 이뤄졌다.

이번 조사에서는 ESS 산업 육성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묻는 답변도 많았다. 그린뉴딜 등 재생에너지 시장을 키우겠다는 의지는 확고하나 ESS에 대한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더욱이 화재 이슈에 대해서도 조사단의 몇 차례 브리핑이 있었지만 확실한 원인과 대안 마련은 부족하다는 평가다.

ESS 시장 회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 및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슈 [자료=인더스트리뉴스]

REC 가중치 타임라인은 코로나19와 함께 증발

일각에서는 ESS 비즈니스로 관련 업자들이 많은 수익을 챙겼을 뿐만 아니라 REC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도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실제 본격적으로 ESS가 보급되던 2017년 이후, ESS 업계는 호황 속에 큰 성장을 이뤘고 수익도 발생했다. 수익성만을 보고 전문성과 경험 없는 기업들도 시장에 많이 들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REC 가중치 일몰 등 초기 산업이라 할 수 있는 ESS의 보조 장치가 사라지면 대기업과 해외기업에만 의존하는 시장이 될 공산이 크다. 업계는 영세기업부터 중소·중견기업, 대기업까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 개선을 통한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경직된 ESS 시장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는 것 중 하나는 REC 가격의 폭락”이라며, “2017년 16만원대 였던 REC 가격이 4만원대도 무너져 최근 2만원대까지 떨어졌다가 현재 3만7,000원대에 있다. REC 구매 수요는 줄고 공급은 넘치는 과잉 현상에 따라 가격 하락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라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본지 시장조사에서도 ‘2021년 ESS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슈’에 REC 가격에 대한 많은 응답이 있었다. △ESS 화재 이슈 대응 35.7% △태양광 연계형 ESS에 대한 REC 가격 및 가중치 32.1% △ESS용 배터리 확보 12.5% △코로나19 사태 이후 시장 혼란 10.7% △2020 일몰 피크제어용 ESS 특례요금제 5.4% △공공기관 ESS 설치 의무화 3.6%로 나타났다.

벼랑 끝 ESS··· 꼬인 매듭 풀어야 2021년 설치 시작돼

올해 ESS 산업이 다시 살아나기 위해서는 먼저 비즈니스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시장이 형성돼야 한다. 국내 전력거래 특성상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ESS와 관련된 재생에너지, 전력수급, 안전대책, 보급정책, 부품소재, 표준 및 인증, 소방 등 유관부서가 전문화되고 있으나 이를 통합해 전반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투명하고 원활한 소통과 일관되고 지속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며, “화재 이슈에 대한 안전대책 및 인식 전환을 위한 홍보, REC 가격 폭락에 대한 개선점 마련 등 꼬인 매듭이 풀려야 2021년 ESS 설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반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력을 사장하지 않고 내수 시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수출로 돌파하려는 움직임이다. 그러나 역시 해외 네트워킹, 정책 지원 등에 목이 마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에서 ESS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더 어려워 해외사업으로 눈을 돌린 상황”이라며, “해외에서는 ESS를 일정 부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유독 국내에서만 사업 추진이 어렵게 흘러가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비교적 신규 시장으로 구분되고 있는 ESS 산업은 엄청난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어 국가 성장 동력으로의 기대도 크지만, 지금의 혼란을 야기하는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치밀한 구상도 필요한 시점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