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2018년 이후 2년 연속 감소 예상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1.06.08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8년 대비 10.9% 감소한 6억 4,860만t 추정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2020년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은 6억 4,860만t으로, 전년 잠정치 대비 7.3%, 현재까지 최정점을 기록했던 2018년 7억 2,760만t 대비 10.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2019년에 이어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에 이어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utoimage]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에 이어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utoimage]

이 같은 추정치는 6월 8일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가 유관기관의 자료,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해 추계·공개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이다. 이번 잠정 배출량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의 수립 및 이행점검을 위해 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잠정 추계한 결과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와 산업공정 분야가 전년대비 각각 7.8%, 7.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이유는 발전, 화학, 철강 등 산업부문과 수송 부문에서 에너지 소비가 줄었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따른 석탄 발전량 감소(13.6%↓), 신재생 발전량 증가(12.2%↑), 총발전량 감소(1.9%↓) 등의 영향으로 발전·열생산 부문 배출량이 전년대비 3,100만t 감소(12.4%↓)한 것으로 추정됐다.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자료=환경부]
연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자료=환경부]

수송 부문은 유류가격이 하락했음에도 코로나19에 의한 여행·이동 자제의 영향과 저공해차 보급 확대 등 감축 정책의 효과로 배출량이 2019년 대비 410만t 감소(4.1%↓)한 것으로 추정됐다. 코로나19에 따른 ‘집합금지 및 거리두기’ 시행으로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2%, 5% 감소,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전년동기 대비 3% 하락했다. 전기·수소·하이브리드 등 저공해차 보급대수도 2019년 대비 2020년 36% 늘었다.

산업부문은 생산량 감소에 따라 배출량이 감소됐으며, 세부적으로는 전년대비 화학 350만t(7.6%↓), 철강 240만t(2.5%↓), 시멘트 220만t(8.9%↓)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2015년~2020년 온실가스 총배출량·분야별 추이 [자료=환경부]
2015년~2020년 온실가스 총배출량·분야별 추이 [자료=환경부]

한편, 가정부문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0.3%↑)한 것으로 추정되며, 상업·공공부문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줄어(11%↓) 배출량이 전년보다 150만t 감소(9.9%↓)한 것으로 추정됐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면서,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GDP) 대비 배출량 및 인구 당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국내 총생산(GDP) 10억원 당 배출량’은 354t으로, 온실가스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인 것으로 추정됐다.

배출량 원단위 개선은 2020년 국내총생산(GDP, 실질)이 전년보다 1% 감소한 데 반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석탄발전 감소, 배출권거래제 등으로 7.3%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1인당 배출량’은 12.5t으로, 전년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서흥원 센터장은 “2020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 신재생 발전량 증가, 저공해차 보급 확대 및 수송연료 소비 감소 등에 따라 크게 감소했지만, 그간 코로나19로 위축됐던 경제활동이 회복되면서 2021년에는 배출량이 다시 증가할 여지가 있다”며, “경각심을 갖고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감축정책을 이행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배출량 감소를 위해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