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온실가스로 수소 만드는 삼합(三合) 촉매 개발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1.06.10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메탄과 이산화탄소 반응시켜 수소 얻는 촉매 기술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촉매가 개발됐다. 온실가스를 분해해 친환경 연료를 생산하는 1석 2조 기술이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부 김건태 교수팀은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난 메탄 건식 개질 반응용 촉매를 개발했다고 6월 10일 밝혔다.

(왼쪽부터)오진경 연구원과 김건태 교수 [사진=UNIST]
(왼쪽부터)오진경 연구원과 김건태 교수 [사진=UNIST]

메탄 건식 개질 반응은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화학 반응시켜 수소와 공업 원료인 일산화탄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화학 반응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촉매를 쓴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삼상(Ternary) 합금 나노입자가 촉매 표면에 돋아난 형태다. 합금 나노입자에 금속 원소 3개(코발트, 니켈, 철)가 섞여 있어 기존 촉매보다 메탄 분해(해리) 반응을 더 잘 촉진한다.

제1저자인 주상욱 연구원은 “합금 나노입자가 메탄의 화학결합을 더 느슨하게 만들어 분해를 촉진한다”며, “이는 철이 첨가되면서 나타난 합금 나노입자의 전자 구조 변화(d-band shift)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개발된 촉매 1g을 쓰면 900 oC에서 초당 약 1.2x1019개의 메탄 분자를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단상 촉매에 비해 약 84.8% 증가한 수치다. 또한 750 oC에서 약 350시간이 넘는 시간 동안 잘 작동하는 안정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건식 메탈 개질 반응에는 니켈 금속 기반 촉매를 쓴다. 성능은 좋지만 고온에서 촉매 입자끼리 뭉치는 현상과 반응을 반복할수록 고체 탄소가 촉매 표면에 쌓이는 문제가 있다.

개발된 삼상 촉매의 특성. (a) CO2 반응성 및 (b) CH4 반응성. 이산화탄소 반은성은 최대 108%이상, 메탄의 반응성은 최대 84% 이상 개선됐다 (c) 시간에 따른 반응성 변화 (촉매 안정성 실험), 350시간 이상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료=UNIST]
개발된 삼상 촉매의 특성. (a) CO2 반응성 및 (b) CH4 반응성. 이산화탄소 반은성은 최대 108%이상, 메탄의 반응성은 최대 84% 이상 개선됐다 (c) 시간에 따른 반응성 변화 (촉매 안정성 실험), 350시간 이상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료=UNIST]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스마트 자가재생(용출, exsolution) 촉매’의 한 종류다. 촉매 입자 내부의 금속 원소가 반응을 반복하면 표면으로 솟아오르는 용출 현상을 이용하는 촉매다. 표면이 새로운 금속 나노 입자로 재생되면서 촉매 성능을 오래 유지 할 수 있다. 특히 니켈(Ni) 또는 코발트(Co) 금속을 용출시키면 이 둘이 나노 입자 합금을 만들어 성능이 뛰어나다.

이번 연구에서는 촉매 입자 표면에 철을 얇게 입혀 니켈과 코발트 금속을 표면으로 더 잘 올라오게 만들었다. 또 용출된 니켈, 코발트 입자가 철과 섞여 새로운 삼상 합금이 형성돼 성능이 더 좋아졌다. 삼상 합금이 발견된 것은 최초다.

삼상 촉매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및 반응성 비교. (왼쪽) 용출된 니켈과 코발트가 표면의 철과 함께 3상 합금 나노 입자를 형성함. (오른쪽) 기존 니켈과 코발트 합금에 철이 첨가 되면서 전자 구조(d-밴드)가 변화해 변환성능이 좋아짐. 붉은색이 개발된 촉매의 성능을 나타남. [자료=UNIST]
삼상 촉매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및 반응성 비교. (왼쪽) 용출된 니켈과 코발트가 표면의 철과 함께 3상 합금 나노 입자를 형성함. (오른쪽) 기존 니켈과 코발트 합금에 철이 첨가 되면서 전자 구조(d-밴드)가 변화해 변환성능이 좋아짐. 붉은색이 개발된 촉매의 성능을 나타남. [자료=UNIST]

UNIST 에너지공학과 오진경 석사과정 연구원은 “새로 개발한 방법(Topotactic exsolution)을 이용해 삼상 촉매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 면적 당 약 200 개가 넘는 합금 나노 촉매 입자를 만들어 건식 개질 촉매 반응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전했다.

김건태 교수는 “메탄 건식 개질 반응을 통해 안정적으로 합성가스와 수소를 생산하려면 촉매의 활성과 안정성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촉매 물질을 개발한 이번 연구는 메탄 건식 개질 상용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한정우 교수도 함께 참여했다.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에 5월 7일자로 온라인 공개돼 정식출판을 앞두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