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원자재 가격에 기업채산성 적색등… 스마트팩토리 도입 빨라진다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2.01.26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핵심원자재 공급망 안정적 확보 등 파고 극복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전년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으로 생산자물가가 5.7%p 만큼 상승압력을 받고,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연간 2.3%p 감소하는 등 거시경제와 기업채산성에 상당한 부담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급등이 생산자물가 및 기업채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시장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자 스마트팩토리에 눈을 뜨는 기업들이 빠르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팩토리에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절감이다. [사진=utoimage]

작년 원재료수입물가 42.3% 폭등, 2008년 이후 최대 상승

2021년 중 수입물가는 전년대비 17.6%나 올랐는데, 수입물가를 구성하는 항목 중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률이 42.3%로 가장 높았다. 원재료수입물가의 이러한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54.6%이후 13년 만에 최대치이다. 

2021년 중 원재료수입물가가 급등한 원인은 국제원유를 중심으로 한 국제원자재 가격의 가파른 상승 때문이다. 작년에 국제원유가격은 유종별로 현물가격 기준 51.4%(브렌트)에서 최대 58.7%(WTI)까지 올랐다. 비철금속가격도 알루미늄 42.2%, 아연 31.5% 등이 큰 폭으로 올랐고, 주요 곡물가격도 선물가격 기준으로 옥수수가 22.6%, 소맥이 20.3% 상승했다.

원재료수입물가 42.3% 급등은 생산자물가 5.7%p 상승효과

한경연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이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했다. 분석결과, 원재료수입물가가 1%p 올라가면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0.134%p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2021년 연간 기준으로 적용하면, 2021년 42.3%의 원재료 수입물가 급등은 2021년 생산자물가주3)를 5.7%p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54.6%이후 13년 만에 최대치로 나타났다. [사진=utoimage]

원자재가 상승 절반 기업부담시 매출액영업이익률 2.3%p 악화

한경연은 기업들이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분의 절반을 기업 스스로 자체 흡수하고, 나머지 절반을 제품판매 가격에 전가한다는 가정아래 국제원자재가 상승이 기업채산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비금융업 전체 기업의 매출액영업 이익률은 코로나19 이전인 5년(2016년~2020년)간 평균 5.1%였는데,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매출액영업 이익률이 2.8%로 이전보다 연간 2.3%p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업들의 가격전가로 인해 생산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은 6.0%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 매출액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대기업이 △2.5%p, 중소기업이 △1.9%p로 대기업이 더 컸다. 한경연은 국제원자재 가격 인상의 영향을 대기업이 더 많이 받는 것은 매출액대비 재료비 비중이 대기업이 더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핵심원자재 공급망 안정적 확보 등 시급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는 원유, 비철금속 등 원자재 수입비중이 높아 국제원자재가격이 상승하면 국내 물가상승 압력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라며, “최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국내 거시경제 및 기업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적 확보, 수입관세 인하, 국제물류 지원 등을 통해 수입물가 상승압력을 최대한 완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법은 스마트팩토리

시장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자 스마트팩토리에 눈을 뜨는 기업들이 빠르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팩토리에 투자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절감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은 최근 각국 정부가 제조혁신을 강화하는 기류에서 스마트제조가 공급망 붕괴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팩토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예상했다. 

업계관계자는 “기업들이 공급망 부품들을 자체 생산하는 것이 확실한 위험 관리 방법이겠지만, 원자재 및 소재를 직접 만들지 못하는 기업들은 공급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스마트제조 솔루션을 낙점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