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0대 기업 실태 조사... 동남권 소재 134→89개로 감소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2.04.11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BNK경제연구원, “청년층 선호도 높은 지식서비스업 일자리 창출 절실”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국내 1,000대 기업 중 수도권에 입지한 기업은 2008년 701개에서 2020년 743개로 증가한 반면, 동남권은 134개에서 89개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동남권의 성장잠재력은 타 경제권역에 비해 낮게 평가된 가운데, 혁신기반과 미래 산업기반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BNK경제연구원이 4월 8일 발표한 ‘동남권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발전과제’에 따르면, 동남권의 전국대비 총고정자본형성 비중은 2013년 16.7%였지만, 2020년에는 13.9%까지 하락했다. 반면 수도권의 경우 41.8%에서 47.6%까지 상승하며 투자집중 현상은 오히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권의 성장잠재력은 타 경제권역에 비해 낮게 평가된 가운데, 혁신기반과 미래 산업기반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utoimage]
동남권의 성장잠재력은 타 경제권역에 비해 낮게 평가된 가운데, 혁신기반과 미래 산업기반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utoimage]

BNK경제연구원은 이 같은 현상은 동남권에 대기업 및 혁신기업이 부족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특히 투자 여력이 있는 대기업이 수도권에 집중 입지하며 투자활동도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일자리 부족, 민간투자 활력도 약화

동남권은 전체 취업자수 증가세가 전국 평균을 밑도는 가운데, 지식서비스업, 고소득 일자리 등 인재유입을 촉진할 양질의 일자리 증가세가 특히 미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3년~2020년 동남권의 지식서비스업 취업자수는 13만명에서 13만1,000명으로 0.8% 증가에 그쳐 수도권(16.8%) 증가세를 크게 하회했다. 또한 관리자·전문가 등 고소득 일자리 취업자수는 69만5,000명에서 67만2,000명으로 -3.3% 감소했다. 반면 수도권의 경우 고소득 일자리 취업자수는 같은 기간 322만3,000명에서 348만6,000명으로 8.2% 증가했다.

BNK경제연구원은 “인적자본 투입은 지역 생산성 증대와 혁신성장의 중요 기반으로 동남권 전반의 일자리수를 늘리기 위한 노력과 함께 청년층 선호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지식서비스업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남권 지식서비스업 취업자수(왼쪽), 동남권 고소득 일자리 취업자수(오른쪽) [자료=BNK경제연구원]
동남권 지식서비스업 취업자수(왼쪽), 동남권 고소득 일자리 취업자수(오른쪽) [자료=BNK경제연구원]

성장잠재력 하락, 혁신성장역량 미약

동남권은 지역성장잠재력 조사에서도 최하위권이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동남권은 6개 경제권역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4위를 기록했다.

이 같은 결과는 세부평가 지표 중 인적자본 역량과 지역사회 역량이 경제권역 중 최하위를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동남권은 전문직 종사자수 비중이 작고, 청년층의 순유출이 많았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외국인 인구비중이 낮고 의료·문화·복지시설 등 정주여건이 미흡한 가운데 기업활동 여건이 부실한 것 등이 지역사회 역량 순위가 낮은 요인으로 지목됐다.

지역혁신성장 역량평가 종합순위에서도 동남권은 하위권을 기록했다. 경남과 부산은 17개 시도 중 각각 13위와 12위, 울산은 7위에 머물렀다. 지역혁신성장 역량은 사람·교육, R&D, 창업, 신산업기반 등 4대 부문을 중심으로 혁신기반과 미래산업 기반을 지수화한 것이다.

유형별 지역혁신성장 역량 분석에 따르면 부산과 경남은 충북, 전북, 경북, 전남, 제주, 강원 등과 함께 혁신기반 역량과 미래산업기반 역량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과 경남의 혁신기반 역량은 각각 11위, 13위이며 미래산업기반 역량은 각각 12위, 13위로 평가됐다.

울산의 경우 세종과 함께 혁신기반 역량(4위)은 높으나 미래산업기반 역량(10위)은 낮았다. 한편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과 대전, 광주는 혁신기반 역량과 미래산업기반 역량이 모두 잘 구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권역별 성장잠재력지수(왼쪽), 성장잠재력지수 평가요소별 동남권 순위(오른쪽)  [자료=BNK경제연구원]
경제권역별 성장잠재력지수(왼쪽), 성장잠재력지수 평가요소별 동남권 순위(오른쪽) [자료=BNK경제연구원]

동남권 인구 감소 가속화, 절반이상 지역이 인구소멸위험

동남권 인구는 2016년 감소세로 전환된 이후 감소폭이 더 확대되고 있다. 2021년에는 2000년 대비 -1.8% 감소한 779만명이 줄었다. 반면 전국 인구는 같은 기간 8.2% 증가하면서 5,164만명 늘었다.

2022년 2월 기준 동남권 566개 읍면동 중 60.6%에 해당하는 343개가 소멸위험 지역인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소멸위험 지역은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곳이다.

지역별 소멸위험 읍면동 비중을 살펴보면, 부산은 8대 광역·특별시 중 가장 높은 49.3%에 달했다. 경남은 74.8%를 기록하며 대부분의 도지역과 마찬가지로 높은 비중을 보였다. 다만 울산의 경우 서울(4.5%), 광주(22.7%) 다음으로 낮은 25.0%로 조사됐다.

BNK경제연구원은 출산율 둔화 및 고령화 진전 속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어 인구 감소세는 향후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동남권 합계출산율의 경우 2000년 1.42명에서 2020년에는 0.87명으로 낮아졌다. 지역별로는 부산(0.75명), 울산(0.98명), 경남(0.95명) 모두 2020년 1.0명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의 합계출산율은 서울(0.64명)을 제외하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초고령사회로의 진전도 가속화되고 있다. 동남권은 2017년 고령사회 단계에 접어든 이후 7년 만인 2024년 초고령사회 단계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 2040년에는 동남권 전체인구 중 1/3을 넘어서는 36.2%가 고령 인구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동남권은 청년층 인구 유출이 타 지역 대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과 경남은 수도권으로의 인구 순유출이 2021년 각각 1만2,875명과 1만1,963명에 달했다. 이는 전국 시도 중 1위와 2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국 및 동남권 인구 추이(왼쪽), 지역별 소멸위험 읍·면·동 비중(오른쪽) [자료=BNK경제연구원]
전국 및 동남권 인구 추이(왼쪽), 지역별 소멸위험 읍·면·동 비중(오른쪽) [자료=BNK경제연구원]

BNK경제연구원은 “새 정부가 들어서며 동남권 지역경제 활성화와 수도권 집중화 현상 해소 등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여야 합의와 공감이 이뤄진 정책의 경우 조기에 가시화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집행 속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