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6년까지 약 26GW ESS 필요…최대 45.4조원 소요 전망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3.01.31 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 마련 위한 TF 구성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전기 사용량이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2036년까지 약 26GW ESS가 필요할 전망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장관 이창양)는 이러한 전망에 따라 안정적 전력망 구축과 글로벌 ESS 시장 진출을 위해 지난 30일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회의(Kick-off)를 개최하고 ESS 산업 발전전략 수립 방향 및 해외 정책 동향 등을 논의했다.

정부가 2036년까지 약 26GW ESS가 필요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전력연구원]
정부가 2036년까지 약 26GW ESS가 필요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대 45.4조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전력연구원]

정부는 ESS가 전력저장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 등이 가능해 전력시스템에서 갈수록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 리서치 업체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은 재생에너지와 연계해 급격한 확대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으로, 2021년 110억달러에서 2030년 2,62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등 선진국들은 폭염‧한파 등 극한 기후 상황으로 어려움을 겪음에 따라 전력시스템에서 에너지스토리지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나아가 ESS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개발, 규제개선 등 지원정책을 통해 전력공급 안전성 강화와 신시장 선점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2030년까지 대규모 장기 에너지저장장치 비용 90% 감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영국은 2021년부터 LDES 상업화 가속화를 위해 1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산업부 이호현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좌초자산화되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ESS 도입이 필수적”이라며,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양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스토리지믹스 계획 마련, R&D, 실증 및 사업화 지원 등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 조성, 나아가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ESS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