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ESG 안착 못하면 수출 길 막힐 수도”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3.02.10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상의, “올해 ESG경영 중요성 더 커질 것”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올해 가장 큰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공급망 내에 환경문제, 인권침해 여부 등 ESG를 안착시키지 못한 기업은 수출 길이 막힐 수 있다는 불안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국내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 ESG 주요 현안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올해 가장 큰 ESG현안을 묻는 질문에 전체의 40.3%가 ‘공급망 ESG 실사 대응’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ESG 의무공시’(30.3%), ‘순환경제 구축’(15.7%), ‘탄소국경조정제도’(12.0%)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올해 가장 큰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utoimage]
올해 가장 큰 ESG 현안은 ‘EU발 공급망 실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utoimage]

고려대 이재혁 교수는 “공급망 ESG 실사법이 올해 독일에서부터 시행되고 내년부터 EU 전체로 확대되면서 국내외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협력업체에 ESG 실사를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실사 결과 고객사와의 거래나 계약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급망 ESG 실사 대응에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반면 공급망 실사법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수준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단기적인 대응수준’을 묻는 질문에 원청기업은 48.2%, 협력업체는 47.0%가 ‘별다른 대응 조치 없다’고 답했다. 장기적인 대응계획으로는 ‘ESG경영 진단 평가 컨설팅’(22.0%), ‘ESG 임직원 교육’(22.0%), ‘ESG경영 위한 체계 구축’(20.7%), ‘국내외 ESG 관련 인증취득’(4.3%), ‘ESG 외부 전문가 영입’(3.7%)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현안으로 꼽힌 ‘ESG 의무공시’와 관련해서도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시작되는 공시 의무화에 ‘별다른 대응계획이 없다’는 기업이 36.7%에 달했다.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인 ISSB 기준의 국내 도입 방식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71.7%는 ‘국내 실정에 맞춰 일부 수정 및 점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전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5.7%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올해 ESG 각 분야별 현안을 살펴보면, 먼저 환경(E) 분야는 ‘친환경기술개발’(34.0%)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사회(S) 분야 현안으로는 ‘산업안전보건’(52.3%)을 선택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지배구조(G) 분야 현안으로는 ‘이사회 및 감사기구 역할 강화’(30.3%)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업 61.6%는 ‘올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ESG 경영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 보고 있었다. ‘덜 중요해질 것’이란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이유로는 ‘국내외 고객사 요구 확대’(53.0%)가 가장 많았고, ‘ESG 규제 도입’(35.1%), ‘연기금 등 투자자 요구 확대’(7.0%), ‘소비자의 요구 확대’(4.9%) 순이었다.

ESG경영 추진 관련 기업애로를 묻는 질문에는 기업의 58.3%가 ‘비용부담’을, 53.0%가 ‘내부 전문인력 부족’을 선택했다. ‘경영진 관심 부족’(16.3%), ‘현업부서의 관심 및 협조 부족’(11.0%), ‘실천 인센티브 부족’(9.0%) 등이 뒤를 이었다.

정책과제로는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39.3%)을 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다. 이어 ‘ESG 진단 실사 컨설팅 지원’(28.0%), ‘감세 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0%), ‘ESG 전문인력 양성’(20.7%), ‘ESG 금융지원’(20.7%), ‘ESG 인증 서비스 제공’(5.7%), ‘기타’(0.3%) 순이었다.

대한상의 우태희 상근부회장은 “기업들은 ESG를 단순히 비용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경기부진을 극복하고 기업의 성장과 도약을 가져올 핵심 경쟁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자금 및 인력 부족으로 ESG 실천이 쉽지 않은 기업들을 위해 금융 세제지원, 업종별 ESG 가이드라인 제공 등 적극적인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