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층제조 시대 여는 ‘3D프린팅’ 업계, “장비 고속화‧소재 개발 등으로 생산공정 투입 준비 완료”
  • 최종윤 기자
  • 승인 2023.03.15 14: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일 ‘2023년 제조산업 발전을 위한 3D프린팅 산업 트렌드 전망 간담회’ 열려

[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3D프린팅이 최종 제품의 직접 생산으로까지 활용폭을 넓혀가면서, 차세대 제조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그간 실험용, 시제품 제작 수준을 벗어나 본격적인 적층제조 시대의 문앞에 선 모양새다.

사진왼쪽부터 HP 김도형 이사, TPC메카트로닉스 엄재용 수석, 폼랩코리아 이경준 지사장, 스트라타시스 조성근 상무, 뮤토랩스 홍순찬 대표, EOS코리아 문나래 과장, 캐리마 이광민 부사장, 더블에이엠 박동협 이사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이에 <FA저널 Autonomous Manufacturing>과 <인더스트리뉴스>가 지난 13일 ‘2023년 제조 산업 발전을 위한 3D프린팅 산업 트렌드 전망 간담회’를 열고 3D프린팅의 최신 기술 동향 및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폼랩코리아, 뮤토랩스, 캐리마, 스트라타시스, HP, 더블에이엠, TPC메카트로닉스, EOS코리아 총 3D프린팅 분야의 대표적인 8개 기업에서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이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간담회 진행 전 FA저널의 3D프린팅 시장조사 결과 수요기업들은 3D프린팅의 ‘생산공정’ 활용성에 대한 질문이 집중됐다. 실제 공정에서의 적층제조가 가능하냐는 뜻이다.

스트라타시스 조성근 상무는 “글로벌 리포트 등에서도 밝혀져 있는데, 확실한 것은 지그, 툴링 등 분야에서 최종 엔드 파트에서 사용하는 것이 매년 급격하게 늘고 있다”면서, “장비의 생산속도가 기존보다 50~100배까지 빨라졌고, 고객의 니즈에 맞는 재료 등이 등장하면서 기존 금형으로 생산했던 제품과 비교해도 가격경쟁력이 생기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조성근 상무는 “다만 아직 20~30만개 정도의 대량생산까지는 아니고, 몇 만개 수준으로는 어느 정도 금형 없이 대체할 수 있는 수준까지 왔다”고 부연했다.

TPC메카트로닉스 엄재용 수석은 “툴링이나 지그 파트를 제외하면, 가공업체가 많은 국내는 글로벌 시장과 비교해 엔드 파트는 아직은 갈 길이 멀다”면서, “아울러 현장에서 좀더 빠르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물성 등 부분에서 기존 제품과 차이가 더 줄어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조 상무는 “미국, 유럽 등과 비교해 3D프린팅의 시장 활성화가 더딘 큰 이유 중 하나가 인건비”라며, “인건비 수준이 계속 올라가면, 국내에서도 다품종 소량 등 부품에 대해서는 3D프린팅으로 대체될 것”이라고 밝혔다.

더블에이엠 박동협 이사도 “재료 측면에서 최근에는 다양한 제품개발 가속화되고 있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계열 뿐 아니라 나일론 베이스의 파우더도 최근에는 물성치 제공 범위를 늘려가고 있다”고 전했다.

EOS코리아 문나래 과장은 “금속 3D프린팅 분야에서도 기술 수준은 상용화 수준까지 올라왔다”면서, “실제 해외에서는 우주항공, 메디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국내시장에서도 몰드 금형, 가스터빈 분야에서 활용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문 과장은 이어 “저희 장비를 구매하시는 많은 고객분들이 양산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서, “실제 양산용 장비가 판매수량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2023년 3D프린팅 산업의 화두 및 전망 △최신기술 및 활용도 △주요 기업들의 사업 전개 방향 △솔루션 확산 전략 등이 논의됐다.

간담회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FA저널 Autonomous Manufacturing> 4월호와 <인더스트리뉴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정리 보도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