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에너지 보급 활성화 드라이브… “원료 다양성 확보 시급”
  • 최용구 기자
  • 승인 2023.05.15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송·정유업계, ‘탈탄소 연착륙’ 솔루션 기대… 비용 부담 등 이해관계 조정 수반

[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가 지난 12일 개최한 ‘바이오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간담회’에선 “신규 원료를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산업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국내 바이오에너지는 폐식용유, 동·식물성 유지 등으로 원료가 너무 한정돼 있다’는 공통된 불만이 제기됐다”고 밝혔다. 또 “규제개선 및 세제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의 요청이 나왔다”고 전했다.

현재 산업부는 민·관 합동의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바이오에너지 도입 활성화를 논의 중이다. 관련 내용의 ‘바이오 경제 2.0 전략’을 상반기 중 발표할 계획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기반을 위한 품질·안정 실증 및 기술개발 관련 국가 예비타당성조사 등이 필요하다. 법·제도는 석유정제업자의 바이오에너지 활용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옥수수, 폐식용유, 사탕수수 등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쪽에선 “수송, 정유업계가 맞닥뜨린 탈탄소 과제로의 연착륙을 도울 에너지원”이라고 강조한다. [사진=gettyimages]

바이오에너지는 ‘생물 기원의 모든 유기체 및 유기물’을 뜻하는 바이오매스(Biomass)가 원료다. 바이오매스를 연소 또는 발효시키거나 액화, 가스화, 고형연료화시키면 에너지가 된다. 이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로 보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연료로 평가받는다.

자동차 엔진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설비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도 있다. 정부는 수송용 연료에 바이오디젤(BD)을 의무로 섞는 비율을 오는 2030년엔 5%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옥수수, 폐식용유, 사탕수수 등을 이용한 이같은 바이오에너지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쪽에선 “수송, 정유업계가 맞닥뜨린 탈탄소 과제로의 연착륙을 도울 에너지원”이라고 강조한다.

자동차 업계엔 전기차로 내연차를 다 바꾸는 것이 현실적인가에 대한 물음표가 있다. 운송 수단의 전환이 ‘소프트 랜딩’ 할 수 있는 현실적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한다.

자동차 산업이 하이브리드 또는 전동화돼 가고는 있지만 내연기관에 대한 의존도는 아직까지 높다. 기계공학계 한 관계자는 “오는 2040년에도 상당 규모의 ICE(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 전용 시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시스템(엔진)에 먹이는 음식만 바꾸면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데 현재 먹이는 음식(휘발유, 경유)에서 나쁜 배설물(탄소)이 나온다고 전체를 버리는 건 현실적으로 너무 아깝다”라고 비유했다.

바이오에너지를 적용한 SAF(지속가능 항공유)는 항공업계의 화두다. EU는 SAF 혼합 의무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사진=
바이오에너지를 적용한 SAF(지속가능 항공유)는 항공업계의 화두다. EU는 SAF 혼합 의무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사진=gettyimages]

휘발유 등에 함유된 벤젠(benzene) 등 방향족 물질 이슈는 예민한 부분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정유사들이 방향족 물질 대신 바이오에탄올을 적용한 결과 사망자를 줄였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바이오에너지를 적용한 SAF(지속가능 항공유)는 항공업계의 화두다. 벨기에 브뤼셀 항공사는 올초 브뤼셀에서 말라가까지 SAF로 시범 비행을 마쳤다.

EU는 지속가능한 항공연료 규정(ReFuel EU Aviation)을 잠정 합의하고 SAF 혼합 의무비율에 대한 단계적 확대(2026년 2%, 2030년 6%)를 추진 중이다. 탄소중립 및 친환경 자율운항 등이 필수로 거론되는 선박업계 또한 연료 대체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관계자는 “바이오매스 자원 및 기술 확보, 바이오에너지 검증의 고도화를 위한 엔진 테스트,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이 숙제”라고 설명했다.

한국기후변화연구원 관계자는 “당장 SAF의 가격은 비쌀 수밖에 없지 않겠냐”라면서, “환경을 위해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책임을 어떻게 배분할지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정부와 정유사, 항공사, 소비자 등이 같은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부에선 ‘국민들이 불편함 없이 바이오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 석유산업과 관계자는 “같은 부처 내에서도 여러 과들이 있기 때문에 협업을 통해 정책방향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책연구원장 출신 한 인사는 “부처 간 협업이 정말 어렵다. 어느 한쪽이 커지면 다른 쪽은 위축되는 당연한 이해관계 조정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하는 문제”라고 당부했다. 그는 “바이오에너지를 국민들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언론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가 열린 석탄회관에는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 등 산업부 관계자와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LG화학 등 기업 관계자들이 나왔다. 에너지와 화학 및 기계 쪽 연구계도 참여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