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제조장비 국가 표준 추진
  • 월간 FA저널
  • 승인 2010.07.27 09: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월말 국가표준 제정 계획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반도체생산 세계 3위 국가의 위상에 걸맞은 반도체 제조장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반도체 제조장비의 안전지침’에 대한 국가표준안을 마련하고, 지난 7월 9일 KS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반도체 제조장비의 안전에 관한 국제표준(IEC)이 제정됨에 따라 조기 국가표준의 도입을 위해 산·학·연의 관련전문가로 구성된 ‘표준전문위원회’는 심도 있는 검토를 거쳐 지난 6월 23일부로 KS제정 예고를 고시한 바 있다.


현재, 국내 반도체 제조를 위한 관련장비 중 주로 핵심장비는 외국 수입 비중이 높고 후공정 및 테스트장비 위주로 국내 장비업체에게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며, 제조장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노동부의 안전인증(S-마크)과 세계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의 단체표준, 유럽표준 등을 인용하면서 조금씩 다른 표준이 적용돼 왔다.


제정 예정인 ‘반도체 제조장비의 안전지침’은 IEC에서 제시하는 반도체 제조장비가 갖춰야 할 전기적 안전 요구사항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조장비의 특성에 따른 위험(화학물질, 전리방사선 등)의 주요내용을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어 반도체 제조장비의 종합적인 안전요구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조장비의 전기적 안전 요구사항은 비상차단(EMO), 연동회로(인터록) 등 IEC의 주요 내용과 일치하도록 했으며, 반도체 제조장비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요구사항, 전리 및 비전리 방사선에 대한 한계기준 등을 추가해 제시함으로써, 장비업체들이 보다 안전한 장비의 설계·제작을 유도하고 있다.


기술표준원은 이번 KS 공청회를 통해 관련 산업계 등 전문가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8월말 국가표준으로 제정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