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rt Factory Monitoring
  • 월간 FA저널
  • 승인 2010.11.12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라콤아이앤씨 R&D센터 임 권 섭 수석연구원

요즘 들어 다양한 매체를 통해 ‘Smart’란 단어를 자주 접하고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부터 업무환경에 이르기까지 행동양식을 바꾸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변화와 혁신이 그 근간에 자리 잡기에 회자되고 있는 것이다.


제조기업의 관점에서 봤을 때 제조현장의 운용방식도 좀 더 Samrt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제조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소로서 생산을 계획(Planning)하고 이를 실행(Execution)하며, 그 과정에서 현장의 생산정보를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분석(Analysis)하는 범주로 이어지는 제조현장관리 체계에 있어서, 많은 기업들이 생산과정 전체에 걸친 업무와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고민을 하고 있다.


보다 수준 높은 제조운영관리를 위해 제시되는 Smart Factory Monitoring은 크게 2가지 목적으로 그 효용성을 논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제조운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신속히 대응한다는 것이다. 공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새로운 설비가 들어오고 라인이 증설되며 자재적재 방식이 변화하는 등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은 공장의 운영관리에 있어서 여러 공장 전체의 설비, 생산진행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하는 것은 말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경쟁력 있는 제조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이 필히 충족돼야 하기에 공장 전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와 시스템을 갖추고 이를 엔지니어 혹은 공무담당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Smart Factory Monitoring의 두 번째 목적은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구축된 생산관리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정보는 현재의 KPI(핵심성과지표)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비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계획 대비 실적 모니터링을 통해 생산라인의 문제나 공정과부하는 예측할 수도 있어야 한다. 공장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은 업무 담당자별로 다른 관점에서 모니터링 돼야 하며, 지점별로 특화된 모니터링 시나리오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기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보다 고도화된 모니터링 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생산계획이 아무리 잘 짜여도, 또 정밀하게 실행이 된다 하더라도 생산과정에서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불의의 이벤트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대응이 가능한 모니터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Smart Factory Monitoring의 핵심이기에, 이의 실현을 위해 IT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Smart Factory Monitoring 기반의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 보고서와 대시보드의 고도화가 중요하다. 모니터링 보고서의 관점에서 모니터링 보드 자체가 잘 작성된 리포트가 될 수 있어야 하며, 설비나 라인 혹은 공장 전체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주요 재공 현황을 동시에 하나의 리포트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특정 시점의 공장현황 리포트 결과값이 의미 있는 새로운 원시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보다 현실적인 정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대시보드의 관점에서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장 특성을 감안해 웹, 스마트폰, 전광판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어야 하며, 대시보드의 자동화, 그리고 공장 내의 주요 알람과 이벤트가 실시간으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기업의 경영진을 위한 C레벨(Chief Officers)용 대시보드가 갖춰졌을 때 제조 모니터링 체계의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는 경영진의 일정에 맞춘 공장정보의 전달과 자동 업데이트, 그리고 현업담당자와의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해 상호 피드백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실시간 제조운영관리의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IT가 많은 부분에서 제조기업의 업무를 지원하고 있지만 특히 공장 모니터링 영역만큼은 실시간으로 현장정보를 취합 분석하는 특성상 제조현장의 니즈와 IT의 본질이 완벽하게 맞아 떨어져 그 효용가치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