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가나...'대권주자'들 각양각색 대책
  • 김희선 기자
  • 승인 2025.04.15 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야 대권주자들 '용산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세종시 이전' 등 입장 제각각
일각에선 서초동 대검청사도 '대안'으로 거론...시간 촉박 일단 용산서 시작 의견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지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지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김희선 기자] 조기 대선 시작과 함께 국정 운영에 있어 중요한 차기 대통령 집무실이 어디로 결정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차기 대통령 집무실로 거론되고 있는 곳은 용산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세종시 이전 등이 꼽힌다. 용산 대통령실은 지난 정권에서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이후 새로운 집무실이 탄생됐다.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주인 없는 용산 대통령실의 지속 사용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이 우세하다. 용산 대통령실은 ‘내란죄’ 상징으로 자리 잡았고 도·감청 등 군사·안보상 취약하다는 점도 단점이다. 특히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용산 대통령 집무실 지속이 아닌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대통령 집무실을 현행 용산 대통령실이 아닌 청와대로 들어가겠다는 구상을 발표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용산 집무실 이전 결정이 확실시 된다면 차기 정부가 대통령실 이전을 위해 최소 6개월 이상의 준비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안철수 예비후보도 출마를 선언하면서 용산 대통령실에서 청와대로 다시 복귀해야 한다고 뜻을 밝혔다.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서울시장도 예산 낭비로 용산 집무실 이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전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도 차기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용산 대통령실을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민의힘측에서 주로 주장하는 '청와대 회귀'가 아닌 세종시로 완전히 새롭게 이전하는 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재명 예비후보는 지난 3월 비공개 회의에서 ‘대통령실 세종 이전 가능성 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지난 14일 차기 대통령 집무실을 서울과 세종에 동시에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동연 전 경기지사도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을 강조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도 세종을 명품 집무실로 구축해 국민 통합의 장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민주당 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은 대규모 공사가 필요하다. 이에 전문가들은 세종시 집무실 이전에는 여러 절차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처음에는 용산 또는 청와대를 임시로 사용하다 세종시 대통령 집무실을 준공한 후 완전한 이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세종시 이전 결정에 앞서 국민적 공감대도 형성해야 한다는 점과 위헌 논란 등도 넘어야 할 산이다. 

다음으로 청와대 복귀에는 시설 노후화와 2년 여간 넘는 시간동안 국민들에게 보여진 청와대 공간 보안시설 해체로 어려움이 크다는 것도 문제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복귀나 세종시 이전을 택할 경우 지하벙커인 국가위기관리센터 북구와 군사시설 보호구역을 재설정해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바라보고 있다. 청와대 보안시설 정비와 내부 인테리어 등 재정비에 수개월의 시간이 예상되고 있다. 

복잡한 문제들이 섞인 상황에서 최근 야권 내부에서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대검찰청 청사도 대통령 집무실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 청사가 외부인 접근이 어렵다는 장점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 대검 청사가 지방 이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 만큼 향후 대통령 집무실로 가능성이 커질지 주목되고 있다. 

다만 50여일 밖에 남지 않은 대선을 앞두고 현실적인 대통령 집무실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머물면서 향후 거처를 모색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