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전 태양광에 적합한 구조물이 어떤 것일까요?
 빛과소금
 2018-06-01 18:31:27  |   조회: 586
첨부파일 : -

올해 염전에 태양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염전은 염분때문에 구조물이 더 튼튼해야 하는데 어떤 구조물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포스맥도 알루미늄도 부식에 어느정도 피해를 입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뭐가 좋은지 전문 지식 공유를 희망합니다. 

2018-06-01 18:31:2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태양광발전소 2019-08-10 06:41:25
가격이 비싸지만 스테인레스 구조물이 염해지역에 적절하다고 할수있습니다 대안으론 포스맥정도가 됩니다 알미늄은 염해지역에사용시 부식이 빨라서 사용하지않습니다
염해지역은 시공시 이종금속에의한 전식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이종금속접촉부에 절연물을 사용합니다 이부분을 이해하지못하면 아무리좋은구조물을 써도 부식속도가 빠릅니다
태양광발전소 특성상 장기전에 투자하는것이기에 기초부분이 잘못되면 모래성위에 집을짖는것과 같습니다 염전은 기초부분에대한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해 기초를 하셔야만 피해를 줄일수있습니다 융용도금사용시는 육지보다 융용도금두께를 크게하여 수명을 연장합니다 .
또하나 방법은 염전공사시 구조물은 {하부지지대는 콘크리트구조물을 만들고 상부프레임부분만 스테인레스를 사용하면 좋은방법에 해당됩니다

solar train 2018-06-05 15:49:23
염전의 경우 기초공사부터 중요합니다. 조금만 파들어가면 연약한 점성토 층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일단 걸어보면 단단하다고 생각되지만 실제 땅을 파보면 지반이 약하다는 말씀입니다. 요즘 연약층 내에 직경 70cm의 모래기둥을 설치하고, 점성토층내의 배수 거리를 단축시켜 단단하게 하는 SCP 공법이 있는데 단가가 좀 높죠. 구조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환경상 용융아연도금처리가 됐더라도 부식이 발생하는데 용접없이 가공 후 바로 조립한 구조물이 상대적으로 부식에 강하고, 또 일반 강재보다는 알루미늄 소재가 부식에 강합니다. 알루미늄 구조물에 염분이 직접 닿은 부분은 도장처리를 하고, 윗단은 양극산화피막 처리를 하면 염분에 의한 부식을 막을 수 있습니다. 도움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