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츠, PSS4000 분산 I/O 솔루션의 유연성과 신뢰성
  • 월간 FA저널
  • 승인 2013.10.24 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성과 안전의 두 마리 토끼를 잡다!”

오픈 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산 I/O 기기는 현재 자동화 시스템 산업 분야에 넓게 보급돼 있다. 분산 I/O는 DCS 또는 PLC 시스템 등의 I/O 디바이스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안전 관련 시스템으로 확대되고 있다.



필츠의 PSSuniversal I/O 모듈은 빌트인 블록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1개의 헤드 모듈에 다양한 I/O 모듈을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별로 다양한 환경이나 용도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표준 I/O 모듈과 Safety I/O 모듈을 하나의 헤드모듈에 확장할 수 있어 기존 일반 분산 I/O 모듈과 Sa fety I/O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통합할 수 있다.


아날로그나 디지털 방식의 모듈, 릴레이형 또는 반도체형 모듈, 표준형 또는 안전장치가 있는 모듈 등 어느 것이든, 기업은 최대 64개까지 사용해 유연성이 높은 조합으로 적절히 조립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전면으로 삽입되는 I/O 모듈과 측면으로 확장되는 베이스 모듈을 통해 I/O 카드의 고장 발생시 모듈을 분리하지 않고 I/O 카드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Fieldbus 지원을 통해 상위 PLC 간 인터페이스 및 분산 I/O 모듈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전 통신과 표준 통신의 통합 모듈은 하나의 모듈로 일반 PLC와 Safety PLC 간 통신 처리가 가능하다.


분산형 I/O 시스템 PSSuniversal은 높은 수준의 안전성뿐만 아니라, 디지털 및 아날로그의 입출력, 고속 카운터 및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I/O 모듈을 통해 일반 프로세스 제어가 가능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일반 시스템과 안전 시스템의 통합 환경을 제공한다.


시스템의 모든 구성품은 국제 안전 표준인 EN ISO 13849-1의 PL e, IEC 61508의 SIL 3을 만족하며, 일반 시스템 기반에서 일부만 Safety가 적용되는 형태의 경쟁사 제품보다 뛰어난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는 많은 유럽 자동차 메이커에서 필츠 분산 I/O 모듈인 PSSuniversal을 채택함으로써 생산성과 안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임을 증명하고 있다.


또한, 일반 시스템을 Safety 시스템으로 통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생산성 저해 요인 및 신뢰성을 PSSuniversal을 통해 안전하게 구현하면서 뛰어난 유용성, 신뢰성 및 안전성을 입증하고 있다.


현재 BMW나 Volkswagen 등에서 분산 I/O 모듈로 PSSuniveral PROFINET 모듈을 적용하고 있으며, 타사 프로세스 제어용 PLC 등과 완벽한 호환을 통해 생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활용하고 있다.


필츠의 분산형 I/O 시스템 적용 사례

BMW는 2년간 전 세계적으로 필츠의 분산형 I/O시스템을 사용해 왔다. 필츠의 분산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BMW는 개발 기간을 거쳐야 했으나,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기로 한 독일 자동차 제조사들의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


이를 위해 레젠스버르그(Regensburg) 실험실에서 2년의 시험 단계를 거쳐, 제어 시스템 PSSuniversal의 유용성, 신뢰성 및 안정성에 대해 시험했다. 그 시험 결과, 고객 맞춤형의 인증된 PROFINET 인터페이스 덕분에 분산형 I/O 시스템 PSSuniversal이 안전하게 기존의 공장 구조에 통합될 수 있음이 증명됐다.


제어 솔루션의 개방성 또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사용자가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프로젝트에 가장 잘 맞는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기사는 필츠(TEL. 031-450-0677)에서 제공한 것입니다.


FA Journal 편집국 (Tel. 02-719-6931 / fa@infothe.com)


<저작권자 : FA저널 (http://www.fajournal.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