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과일‧채소로 사료 제작”…이마트, 농식품부·환경부와 협약
  • 서영길 기자
  • 승인 2024.12.17 1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후레쉬센터서 발생한 과일·채소 부산물, 한우 사료로 공급
(왼쪽부터)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이병화 환경부 차관, 한채양 이마트 대표이사가 17일 이마트 본사에서 열린 ‘식품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사료자원화 시범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이마트
(왼쪽부터)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이병화 환경부 차관, 한채양 이마트 대표이사가 17일 이마트 본사에서 열린 ‘식품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사료자원화 시범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이마트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이마트가 자체 유통시설인 ‘후레쉬센터’에서 발생한 과일, 채소 부산물을 사료로 만든다.

이마트는 17일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와 손잡고 ‘식품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사료자원화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 협약은 신선식품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질의 식품부산물을 고부가가치 화식사료로 만들어 일종의 자원순환 체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마트는 후레쉬센터에서 발생하는 식품부산물을 사료화해 폐기물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물론 부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까지 기대하고 있다.

이마트는 크기가 기준치에 미달되거나 모양이 판매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등 기존 폐기물로 분류됐던 과일, 채소 부산물을 ‘화식 사료’로 만들어 국내 한우 농가에 공급할 계획이다.

이마트에 따르면 후레쉬센터는 과일과 채소의 신선도를 유지하고자 냉동공조 시스템인 콜드체인을 적용하고 있어 부패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

이마트는 이러한 식품부산물을 화식사료 제조업체 ‘태백사료’에 제공해 고품질의 사료로 재활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후레쉬센터에서 운반된 식품부산물은 챔버형 화식기에서 열과 스팀으로 처리돼 부드러워지며 이로 인해 소화율과 영양 흡수율이 높아진다. 이후 발효 과정을 거쳐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고 NFC(비섬유 탄수화물)는 감소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화식사료를 먹은 한우는 분변 내 미소화 곡물 배출이 줄어들고 메탄가스 발생이 감소한다. 또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고 부드러운 육질을 갖게 된다.

앞서 이마트는 지난해 지역 한우농가를 대상으로 약 48톤(t)의 부산물을 사료로 시범 공급한 바 있다. 하지만 후레쉬센터의 과일, 채소 부산물이 기존 폐기물관리법 규제 대상으로 분류돼 재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번 규제특례 실증화 사업을 통해 식품부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했다.

이에 이마트는 오는 2025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식품부산물 사료화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한채양 이마트 대표는 “이번 협약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중요한 첫 걸음”이라며 “환경 부담을 줄이면서 동시에 해외 사료 원료 의존도가 높은 우리 사료업계, 더 나아가 우리 축산 농가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단 점에서 지속가능한 생산, 소비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