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이사 연간 보수 10% 이상 감소…공장가동률 전년비 감소
기아, 글로벌 사업장서 작년 영업익 1.2% 해당하는 벌금 처분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주요 계열사인 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의 지난해 직원 연봉은 2023년 대비 6~10%가량 오르고 직원수도 1년새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표이사들의 연간 보수는 10% 이상 줄었고 지난해 공장 가동률도 3개사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13일 현대자동차‧기아‧현대모비스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3개사 모두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어선 가운데, 기아 직원들이 가장 고소득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기아의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은 1억3600만원으로 전년(1억2700만원) 대비 7.09% 증가하며 3사 중 연봉이 가장 높았다. 이어 현대모비스가 2023년(1억2300만원) 보다 9.76% 오른 1억3500만원을 기록했다.
아이러니하게 현대차그룹의 맏형 격인 현대자동차는 3사 중 직원 평균 연봉이 1억2400만원으로 2023년(1억1700만원) 대비 5.98% 오르는데 그치며 꼴찌에 머물렀다.
현대차 평균 연봉이 가장 적은 이유는 모수인 총 직원수가 가장 많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3사의 직원수를 보면 현대차가 타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난해 현대차의 직원수(비정규직 포함)는 7만5137명으로, 1년 동안 1365명(2.22%↑)이 새로 입사했다.
기아는 2023년 보다 단 10명이 늘어난 3만5747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현대모비스는 직원이 209명 늘어나며 1만2310명을 기록, 1.74% 증가했다.

반면 주요 경영진의 연간 총 보수는 6~13%가량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의 수장인 정의선 회장은 지난해 기아를 제외한 2개사에서 총 115억1800억원을 수령했다. 지난해 현대차에서 70억8700만원, 현대모비스에서 44억31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정 회장의 지난해 연봉은 2023년 122억100만원 보다 5.6% 감소했다. 정 회장은 기아에서는 지난해까지 연봉을 받지 않았다.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해 33억9900만원을 받으며, 2023년(38억9400만원) 보다 12.71% 큰 폭으로 연봉이 감소했다.
송호성 기아 대표이사 사장 역시 12% 가량 연봉이 쪼그라들었다. 송 사장은 2023년 32억6800만원에서 지난해 11.96% 줄어든 28억7700만원을 받았다.
2023년 말 대표이사로 선임된 이규석 현대모비스 사장은 지난해 17억9700만원을 수령했다.
이와 함께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3사의 최근 4년 동안의 공장 가동률 추이를 보면 등락을 거듭했다. 다만 대부분의 업체가 2023년을 기점으로 가동률 고점을 찍고 하향하는 추세를 보였다.
각 사별 공장 가동률을 보면 현대차는 2021년 92.1%에서 2022년 89.9%로 주춤했다가 2023년 93.5%로 반등했다. 하지만 지난해 다시 90.6%의 공장 가동률을 보이며 3%p(포인트) 가까이 가동률이 줄었다.
기아는 81.5%(2021년)→91.1%(2022년)→98.5%(2023년)로 정점을 찍고 지난해 94.4%로 가동률이 하향했다.
현대모비스의 경우 국내는 4년 동안 86.0% → 91.9% → 91.2% → 90.2%로 등락을 거듭했고 해외 공장 역시 57.1% → 59.8% → 64.5% → 63.8%로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이들 3사의 지난해 법 위반으로 인한 과징금 및 과태료 현황을 보면 기아가 지난해 영업이익(12조6671억원)의 1.23% 해당되는 1560억원의 벌금을 부과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아 유럽법인(KiaEU)은 2024년 5월 독일 프랑크푸루트 검찰로부터 약 2860만유로(422억7000만원)의 질서위반금 처분을 받았다. 4개월 뒤인 같은해 9월에는 기아 폴란드 판매법인(KPL)이 폴란드 공정위(UOKiK)로부터 약 1137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가격고정 및 시장분할 혐의로 인한 폴란드 공정거래법 및 EU 공정거래법 위반에 따른 처분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다만 기아 측은 이에 불복해 지난해 10월 23일 불복소송을 제기한 상황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약 4억7000만원의 벌금을 냈다. 안전기준을 위반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과징금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해 11월 좌석안전띠 안전기준 위반, 자동제동장치 안전기준 위반, 제동장치 안전기준 위반 등의 이유로 각각 4400만원, 7400만원, 2억4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