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車 등 품목 관세 25%는 유지…美, 90일 유예기간에 국가별 맞춤형 협상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에 나선 지 13시간여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로 올리면서 나머지 70여개국에 부과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이들 국가에는 10%의 기본 관세만 물리기로 했다.
다만 이미 시행 중인 자동차,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중국에 대해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하며, 이는 즉시 효력을 발휘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바라건대 가까운 장래에 중국은 미국과 다른 나라들에서 빼앗는(ripping off) 시대가 더 이상 지속 가능하거나 용납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75개국 이상의 국가들이 미국과 무역 장벽, 관세, 환율 조작, 비통화 관세 등에 대한 해결책을 협상하기 위해 나섰다면서 “이러한 국가들이 미국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든, 형태로든 보복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90일간의 유예(pause)를 승인했다”면서 “이 기간 동안 10%의 대폭 낮아진 상호 관세도 즉시 발효됐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는 중국의 대미 대응 조치에 대응해 전날 대중국 상호관세를 34%에서 84%(총 104%)로 올린데 이어 이날 다시 21%p 높인 것이다. 앞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펜타닐의 미국 유입 차단에 중국이 비협조적이라는 이유로 미국은 2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것이 줄곧 트럼프의 전략이었다며 “중국은 "자신들이 나쁜 행위자(bad actors)임을 세계에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조치가 전해지자 미국 주가는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보다 7.87% 급등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9.52% 상승, 나스닥 지수는 12.16%나 폭등했다.
CNBC 방송에 따르면 이러한 S&P 500 지수의 상승 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 10월 13일(11.58%)과 10월 28일(10.79%) 이후 세 번째로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