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력을 활용한 솔라셀 핸들링 EA 그리퍼
  • SolarToday
  • 승인 2011.11.07 13: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 태 희 기자


미국 스탠포드 대학 부설의 연구기관인 SRI(Stanford Research Institute)인터네셔널은 3M의 ‘포스트잇(Post-it)’에 비견할만한 유연하고 획기적인 로봇 및 핸들링 그리퍼 솔루션을 최근 발표했다.

EA(Electro Adhesive) 그리퍼(Gripper)로 알려진 이 제품은 그리퍼 패드와 집을 제품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기력을 컨트롤해 그리핑이 가능케 하는 신기술을 사용했다. 따라서 집을 제품의 내부 및 외관에 변형을 주지 않고 안전하게 핸들링 할 수 있게 한 최신 기술의 그리퍼이다.

공압 및 기계적인 그리퍼는 제품 표면에 힘을 가해 흡착시켜 제품을 잡게 되므로, 대상 제품의 외관 및 내부에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반면 EA 그리퍼는 그리퍼 패드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정전기력으로만 대상 제품을 홀딩하게 된다. 과거에는 제품들의 생산 및 핸들링에 있어 그리핑의 난제로 인해 자동화 및 기계적인 핸들링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EA 그리퍼는 새로운 로봇식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할 뿐 아니라,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배큐엄 컵(Vacuum Cup) 및 메커니컬 그리퍼(Mechanical Gripper)를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의 그리핑은 크게 중력 반대방향, 그리고 측면에서 픽업하는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수동으로 On/Off 할 수 있는 Low Speed EA Gripper와, 로봇 및 다른 장비와 연계해 10ms의 고속도 Gripping/Release 하는 High Performance Power Supply EA Gripper 2개 모델 제품이 현재 2~3주 딜리버리로 제공 된다.

EA 그리퍼는 구동을 위한 소모 전력이 0.5W 정도로 기존 기계식 또는 공압 그리퍼의 1/100 수준에서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형태 및 모양의 그리퍼 디자인이 가능하고, 크기에 제한이 없어 로봇 및 SI사를 시작으로 빠른 시일 내 산업계 전반에서 널리 사용될 것으로 SRI인터네셔널은 내다보고 있다.

EA 그리퍼의 주요 응용분야로는 PCB 보드 및 F-PCB의 핸들링 및 조립작업, 솔라셀 및 패널의 로봇 핸들링 수율 향상 및 표면 스크래치 방지, PDF, LCD 글라스 핸들링(수율 향상 및 표면 스크래치 방지), 복합 화합물 및 직물의 펼침 및 복잡한 방향 확인 후 적층작업, 전기 전자 및 소형 기계 부품의 Pick & Place 작업, 식품 및 음료, 농수산물과 가공식품의 유연한 핸들링 공정, 유리, 과일, 종이, 광섬유 등 깨지기 쉽고 변형이 있는 제품의 안정적인 핸들링 작업, 바이오, 의료 연구소 및 제조라인 등이다.

 

SOLAR TODAY 편집국 / Tel. 02-719-6931 / E-mail. st@infothe.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