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유심(USIM) 해킹 사태로 SK텔레콤(SKT)을 떠나는 가입자들이 늘어나면서 SKT의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이 40% 밑으로 떨어졌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5월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의 가입자 수는 2249만9042명으로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39.29%를 차지했다. 올해 5월 기준 처음으로 40% 아래로 추락한 셈이다.
이는 지난 4월과 비교하면 가입자 수는 0.79%p 감소한 수치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의 가입자는 각각 1361만780명(23.77%), 1113만1466명(19.45%)으로, 4월 대비 각각 0.32%p, 0.23%p 증가했다. 알뜰폰 가입자 수는 999만7971명으로 4월보다 13만5997명 늘어 전체의 17.47%를 차지했다.
이같은 수치는 5월을 기점으로 하고 있는 만큼 6~7월 기준 공식 가입자 통계가 공개되면 SKT의 시장 점유율은 추가 하락했을 가능성이 크다.
4월 해킹 사태 이후 SK텔레콤이 가입자 번호이동 위약금을 면제한 지난 14일까지 이 회사를 떠난 고객은 모두 83만5214명이다. 전체 가입자는 60만1376명 순감했다.
관련기사
- SKT ‘위약금 면제’ 마지막 날…뺏으려는 자와 막으려는 자 ‘각축전’
- SKT “위약금 면제하고 고객에 5000억 규모 보상할 것”…투자와 보상 등 1조2000억 프로그램 발표
- SKT, 4년 전부터 해킹 공격받아…과기부 “해킹 사태 SKT 귀책, 위약금 면제해야”
- SKT, 자체 LLM 기술 바탕으로 ‘초거대 AI 모델’ 도전
- SKT, 크래프톤과 언어모델 공동 개발…“게임 AI 고도화 위한 한국형 LLM 개발 본격”
- SKT, 자체 거대언어모델 기반 멀티모달·범용문서 해석 기술 공개
- SKT, 여름철 통신 품질 집중 관리 돌입…8월 31일까지 상황실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