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경보 체계 고도화 등 신기술 중심 재난 대응 강화...기후위기 대응 투자도 확대

[인더스트리뉴스 김희선 기자] 행정안전부가 오는 2026년 재난안전예산을 2025년 본예산(23.8조원) 대비 11.4% 증액한 26조 6천언 웍 규모로 편성해 30일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이번 예산안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예·경보 체계 고도화와 기휘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핵심으로, 재난 대응의 과학화와 선제적 예방에 무게를 실었다.
행안부에 따르면 분야별로 사회재난 분야가 10.9조 원(41.0%)으로 가장 많고, 자연재난 분야와 재난구호·복구 등 공통 분야가 각 6.8조 원(25.6%), 안전사고 분야가 2.1조 원(7.9%)이다.
세부 유형별로는 풍수해 5.1조 원(19.3%), 재난구호·복구 3.7조 원(13.8%), 철도·도로 안전 각 2.8조 원(10.5%), 수질오염 1.3조 원(4.8%) 순으로 책정됐고, 재난관리 단계별로는 예방 18.5조 원(69.6%), 복구 5.2조 원(19.5%), 대비·대응 2.9조 원(10.9%) 순으로 잡혔습니다.
행안부는 중앙행정기관이 요구한 419개 재난안전사업을 대상으로 효과성, 정부 정책과의 연계성, 재정사업평가 결과 등을 종합 검토해 투자우선순위를 선정했다.
이를 검토한 결과, 투자확대 152개(12.6조 원), 투자유지 215개(9.6조 원), 투자축소 52개(1.2조 원) 사업으로 구분했다.
특히 행안부는 국민생활안전 확보, 기후위기 대응 등 새 정부 기조를 반영해 일상생활 속 국민 안전을 위해 고용노동부의 클린사업장 조성지원 등 안전한 일터 조성, 안심 먹거리 제공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분야 투자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행안부는 재난피해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재난·사고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재해로 인한 농·수산업 피해 보상을 강화했고, 기후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예·경보체계를 고도화하고, 홍수·가뭄 대비 치수 안전성 확보와 실전형 재난대응 훈련 확대에 예산을 집중했다고 밝혔다.
김광용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투자가 중요하다”며 "재난안전예산이 적재적소에 투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