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AI 성과 창출·기업문화 확립'으로 당면 위기 돌파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CEO)이 2025년은 전례 없는 위기의 해가 것이라고 전망하며 “본원적 경쟁력을 극대화 하고 AI(인공지능)에서 가시적 성과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2일 SK텔레콤 뉴스룸에 공개한 신년사를 통해 "글로벌 경제 불안정성 등 지정학적 이슈로 시장 전망이 어둡고, 국내 경제 역시 내수 경기 침체 등 여러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유 대표는 지난해는 본원적 경쟁력 강화(OI·Operation Improvement)를 통해 통신 사업의 건전성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또 AI 피라미드 전략의 실행력을 높이는 등 통신과 AI 두 축을 기반으로 글로벌 AI 컴퍼니의 토대를 마련했다고도 자평했다.
그는 2025년에 대해선 “기술 환경 측면에서는 AI 기반 디지털 혁신이 만들어내는 시장 성장과 AI와 통신의 결합을 통한 혁신 등 새로운 기회도 예측되는 한편, AI 기술 패권 경쟁과 투자 경쟁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T가 당면한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해법으로 ▲본원적 경쟁력 극대화 ▲AI 가시적 성과 창출 ▲유연한 기업문화 확립 3가지를 꼽았다.
유 대표는 “OI를 넘어 본원적 경쟁력 극대화(OE/Operation Excellence)를 달성해야 한다”며 “단기 수익성과 장기 성장성을 동시에 고려해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AT/DT 기술을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기존 통신 사업의 패러다임을 AI를 통해 완전히 전환해 나갈 것”이라며 “AI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AI 가시적 성과와 관련해 유 대표는 “2024년에 추진한 B2B(기업간 거래) AI 사업을 위한 SKT-SKB-SK C&C 시너지 체계 확립, 에이닷과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를 통한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 AI 서비스 가능성 입증에서 더 나아가 2025년에는 우리의 AI가 실질적인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방안을 제시했다.
유 대표는 또 “‘AI 인프라 수퍼 하이웨이’ 구축을 위한 AI DC, GPUaaS, 에지AI 사업은 물론 AIX 솔루션과 PAA(퍼스널 AI 에이전트)에 이르기까지 AI 밸류체인 전 영역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만들어 나가자”고 독려했다.
기업문화에 대해선 “치열하고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기업문화를 확립하자”고 당부했다.
그는 “‘수펙스 스피릿’을 바탕으로 치열하게 실행하면서도, 스피크아웃(공개적 발언)이 자유로운 수평적 소통으로 유연성을 확보하고 ‘사업-공유 인프라-스탭’ 조직이 하나로 결집해 단단한 팀 워크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지금 우리는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을 걷고 있다”며 “어려운 상황에는 변화해야 하고 변화하면 통하는 길이 있고, 통하게 되면 오래 지속된다는 의미의 ‘궁즉변(窮則變), 변즉통(變則通), 통즉구(通則久)’라는 말을 되새기며 이 도전적인 길을 함께 헤쳐 나가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