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액정 고분자 통한 ‘올인원 솔루션’ 개발… 센서 분야 등에 활용 기대
  • 조창현 기자
  • 승인 2023.12.20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염물질 제거 및 차세대 통신용 인쇄 회로 기판 제조 등에 다기능성 부여 가능

[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액정 고분자는 녹아있는 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로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가지고 있다. 기존에는 광학 필름이나 코팅 소재로 응용됐지만, 최근에는 센서 기술 및 가스·액체 흡착, 약물 전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KAIST 윤동기 교수연구팀은 다공성 액정 고분자 및 다양한 기능성 나노입자 도입을 통한 복합체를 제작했다. [자료=KAIST]

KAIST(총장 이광형)는 화학과 윤동기 교수연구팀이 연성 소재(soft material)중 하나인 액정 고분자에 대한 자기조립(self-assembly)을 활용해 다공성 액정 고분자 구조체를 제작하고, 다양한 기능성 나노 입자를 도입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매트릭스로 ‘다공성 구조체’ 활용

연구에서 윤 교수팀은 유-무기 복합체(organic-inorganic composite) 제작에 집중했다. 이에 고분자 기반 다공성 구조체를 매트릭스로 페로브스카이트(perovksite)와 금속유기골격체 (metal-organic framework), 퀀텀닷(quantum dot) 같은 다양한 기능성 나노 입자를 도입했다.

KAIST는 연구팀이 활용한 다공성 구조체는 다양한 모양에 대한 조립을 유도할 수 있는 분자 형태로 이뤄져 있어 표면 개질이나 공간적 한정, 빛과 전기장에 의해 배향이 쉽게 조절되는 특성을 가진 액정 배향 제어를 기반으로 제작했다고 전했다.

특히 연구팀은 매트릭스 내 기공에서 나노 입자들을 직접 성장시키거나 이미 제작된 나노 입자들을 도입하는 등 서로 다른 전략을 개발했다. 이에 도입하고자 하는 기능성 나노 입자에 대한 선택성을 넓혀 범용적인 복합체 제작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보였다는 게 KAIST의 설명이다.

윤동기 교수연구팀은 금속유기골격체 및 자성 나노입자 도입을 통해 다기능성 복합체를 제작했으며, 기름 흡착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자료=KAIST]

‘다기능성 복합체’ 제작 가능성 입증

아울러 연구팀은 나노 입자 두 가지 이상을 도입하는 전략을 제시해 다기능성 복합체 제작에 대한 가능성도 증명했다.

KAIST에 따르면 기존 다공성 고분자 기반 복합체 제작 연구는 기능성 입자 하나만을 도입하려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입자 두 가지 이상에 대한 기능성 도입을 위한 자세한 연구는 부족하다.

윤동기 교수연구팀이 진행한 연구에서 제안한 다기능성 복합체 같은 경우 서로 다른 나노 입자들이 가진 기능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이에 기존 기능성 입자들에 대한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게 된 연구로 보인다.

KAIST 윤동기 교수는 “새롭게 개발한 기술은 기존에 알려진 대표적인 무기 입자들을 액정 고분자를 통해 한 번에 제조, 포함할 수 있는 ‘올인원 솔루션’”이라며, “오염물질 제거와 안정된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 차세대 통신용 인쇄 회로 기판 제조 등에 다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및 함께달리기사업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Universal Strategy for Inorganic Nanoparticle Incorporation into Mesoporous Liquid Crystal Polymer Particles’라는 이름으로 지난 11월 22일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