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철강공급 과잉 지속과 설비 노후화 등 고려한 결정

[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이 45년 9개월 간의 가동을 마치고 셧다운(shutdown)에 들어갔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1선재 폐쇄는 지난 7월 포항 1제강공장에 이은 두번째 셧다운이다.
포스코는 최근 글로벌 철강공급 과잉현상의 지속, 해외 저가 철강재의 공세, 설비 노후화 등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선재공장 폐쇄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회사에 따르면 따르면 2023년 글로벌 선재시장은 약 2억톤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실제수요는 9000만톤에 불과했다.
반면 중국은 약 1억4000만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내수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부족 환경에서 가동율 확보를 위해 저가로 주변국에 수출하면서 글로벌 선재가격하락을 주도해왔다.
국내에서도 해외 저가 선재제품의 수입이 지속됨에 따라 시장가격이 동반 하락했다.
포항 1선재공장은 1979년 2월 28일 가동에 들어가, 두 차례 합리화를 거쳐 45년간 누적 2800만 톤의 선재 제품을 생산해왔다. 1선재에서 생산한 선재제품은 못이나 나사의 재료가 되거나, 타이어코드, 비드와이어 등 자동차 고강도 타이어 보강재로 활용됐다.
포스코는 1선재에서 생산하던 고강도 타이어코드, 선박 및 자동차용 용접봉 등 강재를 포항 2~4선재공장에서 전환 생산할 계획이다. 1선재 전 직원은 11월 말까지 공장 정리 후, 부내 또는 타 부서로 재배치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