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사업에서 양자암호통신을 운영하기 위한 통합 관제 플랫폼을 구축했다고 26일 밝혔다.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사업은 양자기술 산업화를 촉진하고, 시장 선점과 상용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양자 테스트베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KT는 이 사업에서 테스트베드 운영에 필요한 플랫폼 관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참여한다. 단거리 및 장거리 양자 통신망과 양자내성암호(PQC)망으로 구축된 테스트베드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통합 관제 플랫폼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맡았다.
KT가 개발한 통합 관제 플랫폼은 동종 또는 이종의 양자암호통신 장비로 구성된 양자 통신망에서 원격으로 망의 운영 현황을 관제하는 기능을 한다. 양자키분배장비(QKD), 양자키관리장비(QKMS), 양자통신암호화장비(QENC) 등 서로 다른 장비를 종합해서 관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 이 장비들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장비 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주고, 통신망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의 장비, 성능, 장애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현황을 통합해서 보여준다.
KT는 통합 관제 플랫폼을 이용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서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판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대전) 등 3개 지역의 4개 거점을 연결하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의 통신망을 관제하고 있다.
KT Enterprise부문 통화/데이터이행담당 손대호 상무는 “KT는 빠르고 안전한 통신을 요구하는 통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계속해서 양자 통신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연말연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 달 2일까지 '네트워크 집중관리 체제'를 운영한다.
이 기간에는 1000여 명의 네트워크 전문가가 전국 주요 통신 센터에 배치된다.
KT는 과천 네트워크 관제센터를 중심으로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유무선 통신 서비스 이상 유무를 상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특히 연말연시 인파가 집중되는 유명 타종식이나 해맞이 장소 등을 비롯해 번화가, 백화점 등 전국 200여 곳을 네트워크 집중관리 지역으로 선정, 기지국 증설과 함께 품질 점검도 했다.
아울러 KT는 연말연시 기간에 피해가 늘어나는 스팸·피싱과 같은 사이버 공격에도 대비할 방침이다.
KT는 점점 지능화하는 통신망 디도스(DDoS) 공격에 대비해 악성파일 분석 특화 AI 모델 'AI 디도스 스캐너'를 개발해 KT 과천 보안 운용센터에 구축했다.
AI 디도스 스캐너는 사물인터넷(IoT) 단말 환경에서 실행되는 파일들을 딥러닝을 통해 10분 이내로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