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딥시크 금지 확산… 국방·외교·산업부에 이어 카카오도 차단
  • 한원석 기자
  • 승인 2025.02.06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안부, 중앙부처·17개 시도에 공문 후 일부 부처 접속 제한… LG유플러스, 한수원 등
중국 AI 딥시크. /사진=로이터 통신, 연합뉴스
중국 AI 딥시크. /사진=로이터 통신,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가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의혹이 불거진 가운데 정부 부처들과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딥시크 차단에 나서고 있다.

6일 정부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외교부, 국방부는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이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겼다. 국가정보원도 비슷한 내용의 공문을 각급 기관에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움직임은 공공기관과 주요 기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달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라는 제목의 공문을 게시했다.

최근 카카오는 국내 대형 정보기술(IT) 기업 중 처음으로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고, LG유플러스도 이날 딥시크 사용 금지에 대한 정보보안 안내문을 올렸다.

그동안 삼성전자와 SK,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은 챗GPT를 포함한 외부 프로그램 사용이 사내 PC에서 금지돼 있었다.

이 같은 보안 조치는 딥시크가 AI 학습 과정에서 사용자 기기 정보, 키 입력 패턴 등 민감한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중국 서버에 저장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시작됐다. 키 입력 패턴 수집은 사용자의 타이핑 습관을 파악하는 기술로, 생체 인식 수준의 정보 수집에 해당한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해외에서도 정부 차원에서 대응에 나섰다. 호주와 일본, 대만은 정부 기관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이탈리아는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차단했다. 미국 텍사스주는 주 정부 소속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