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에 무릎꿇은 영풍·MBK, MBK 1·2인자 김병주·김광일 주총 모두 불참
  • 홍윤기 기자
  • 승인 2025.03.28 1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8일 고려아연 정기주총 초미의 관심사...고려아연 측, 영풍 의결권 봉쇄하며 경영권 방어
적대적 M&A 주도한 김광일 MBK 부회장 주총에도 불참...MBK 내부 혼란 가능성 제기돼
김광일 MBK 파트너스 부회장(홈플러스 공동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홈플러스·MBK 파트너스 및 삼부토건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영풍·MBK 파트너스가 경영권 분쟁의 성패가 달린 28일 고려아연 정기주주총회에서 고려아연의 ’상호주 제한‘ 묘수에 또 다시 일격을 당하며 결국 무릎을 꿇고 말았다. MBK의 1, 2인자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은 아예 주총장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의구심이 일기도 했다.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이 모두 주총에 불참하자 일각에서는 최근 홈플러스 사태로 질타를 받는 등 여론이 악화되자 MBK 파트너스 내부에서 동요가 일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28일 서울 용산구 몬드리안 호텔에서 열린 제51기 고려아연 정기주주총회 결과 최윤범 회장 등 고려아연 현 경영진이 추천한 5명의 이사가 모두 이사회 진입한 반면, 영풍·MBK 측 후보는 3명만 선임되면서 결국 고려아연측이 경영권 방어에 성공해 최종 승자가 됐다.

영풍은 주총 하루 전인 27일 주식배당으로 SMH 지분율을 낮춰 상호주 관계를 끊고 의결권을 회복하는데 성공해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는 듯 했다.

하지만 주총 당일인 이날 SMH가 영풍 지분을 추가로 매입해 지분율 10% 이상 회복하면서 영풍은 다시 의결권이 무력화되는 처지로 내몰리게 됐다.

김병주 MBK회장은 앞서 국회 정무위 증인 채택 이전에 해외출장을 떠나 주총 불참은 예견된 일지만 이날 이사회 진입에 성공한 당사자인 김광일 MBK부회장 조차 주총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은 다소 의외였다는 것이 중론이다. 특히 김광일 부회장은 이번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주도한 핵심인물이어서 주총장에서 당연히 영풍쪽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돼 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김광일 MBK부회장은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M&A를 주도한 키맨이어서 경영권의 향방을 가를 것으로 예상됐던 고려아연 정기주총에 불참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보인다”면서 "MBK내부에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공교롭게도 최근 들어 회장과 부회장 모두 모럴해저드 논란이 제기된데다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부정적 여론이 팽배하자 아예 주총에 불참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이날 주총장에는 홈플러스 노조도 항의차 방문해 대주주 MBK 주도하에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의 사재 출연은 물론 형사처벌까지 촉구하는 강경발언을 쏟아내기도 했다.

김광일 부회장의 경우 지난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홈플러스-MBK 사태 긴급현안 질의 당시 다수의 ‘슈퍼카’를 보유한 것으로 드러나 도적적 해이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이는 김병주 회장이 해외출장을 이유로 국회 정무위 증인 출석을 회피했다는 논란과 맞물려 거론되는 상황이다. 게다가 김 회장은 홈플러스 피해자 구제를 위해 사재를 털어 지원하겠다고 공언했지만 구체적인 금액이나 지원 시기, 방법 등에서는 여전히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이와는 결이 다르지만 금융당국의 MBK에 대한 압박도 갈수록 커지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26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MBK는 자기 뼈가 아닌 남의 뼈를 깎는 행위로 손실은 사회화시키면서 이익은 사유화하는 방식을 취한다”고 지적하면서 "MBK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강도높은 비판을 한 바 있다.

금감원은 이례적으로 4월1일부터 MBK의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매주 현안 브리핑을 하겠다고 밝히는 등 적극적인 규제를 예고한 상태다. 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상거래채권을 전액 갚겠다는 MBK파트너스의 발표를 반드시 실천하도록 압박하려는 금융당국의 의도가 담긴 것으로 관계자들은 해석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