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 생산 통해 적정 재고 수준 유지·최적 인센티브 운영 전략 펼칠 것”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기아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조8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2% 감소했다고 25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28조175억원으로 6.9% 늘며 역대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올렸고, 당기순이익(비지배 지분 포함)은 2조3926억원으로 14.8% 감소했다.
기아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차종에 대한 고객 선호가 지속 확대되는 가운데 관세 적용을 앞둔 미국 시장의 선구매 수요 및 인도와 신흥시장의 판매 호조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글로벌 판매가 상승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판매에 따른 가격 상승, 원자재가 하락으로 인한 재료비 절감, 원화 약세에 기반한 긍정적 환율효과 등에도 지난해 1분기 매우 낮았던 해외 주요 시장의 인센티브 기저 영향 및 지난해 북미시장의 EV9 본격 판매에 따른 판매믹스 기저 영향 등이 이를 상쇄하며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은 다소 감소했다”고 말했다.
기아는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77만2648대의 차량을 판매해 작년 1분기보다 1.6% 신장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등 고수익 RV 차종과 전기차 볼륨 모델인 EV3 등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K3와 모하비 단산 등의 영향으로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13만4564대가 판매됐다.
해외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북미 권역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진 가운데 인도에서 시로스의 성공적 출시와 아시아·중동 및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서의 판매 호조 등이 상승을 이끌며 작년 동기대비 2.5% 증가한 63만8084대로 집계됐다.
기아의 1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대수(상용 포함)는 하이브리드 수요 확대 양상에 따른 판매 증가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한 17만4000대를 기록했다. 유령별로는 하이브리드 10만4000여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1만4000여대, EV 5만6000여대가 판매됐다.
1분기 매출은 역대 분기 최대 매출로 친환경차와 RV 차량 판매 비중 확대에 따른 대당 판매가격(ASP) 상승과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상승세를 나타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매출원가율은 인센티브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2.1%포인트(p) 상승한 78.3%를 기록했고, 판매 관리비율은 전년 대비 0.3%p 상승한 11.0%를 기록해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영업이익률은 10.7%로 1분기 기준 글로벌 주요 OEM의 예상 영업이익률 평균치인 5% 대비 약 2배 이상 수준이다.
비록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감소하긴 했지만 기아는 2022년 4분기부터 10개 분기 연속으로 영업이익 2조원 이상,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는 등 고수익 체제를 지속했다.
기아 관계자는 “수요에 기반한 유연 생산 운영을 통해 적정 재고 수준을 유지하는 한편 최적의 인센티브 운영 전략을 펼쳐 수익성과 고객가치 중심의 사업 운영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