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R&D 정부 투자 3년간 3조원 썼다
  • 전시현 기자
  • 승인 2018.03.08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정부투자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3년간 주요 기관 7개 부처 64개 사업에 지원된 보건의료기술 R&D 예산 현황을 분석한 결과 3조원을 투자했다.

진흥원, 현황 분석 결과 보고서 발간, 3년 간 복지부 등 7개부처 64개 사업 분석

[Industry News 전시현 기자] 최근 정부는 보건의료 R&D에 3년간 3조원을 투자했다는 보고가 나왔다.

가장 많은 투자 질환군은 신생물로 보건의료기술 R&D 전체 투자액의 14.1%(4,237억 원, 3년간) 차지했다. [사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가장 많은 투자 질환군은 신생물로 보건의료기술 R&D 전체 투자액의 14.1%(4,237억 원, 3년간) 차지했다. [사진=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지원된 보건의료기술 R&D 예산 현황을 분석한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 정부투자 현황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에 따른 보건의료기술 정부 R&D 투자는 3년간 총 3조원 규모로 정부 전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5.6%,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사업의 74.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보건복지부, 舊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약 85%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 동안 신생물 분야에 전체 금액 중 14.1%인 4,237억 원이 투자되었고, 그 외 신경계통의 질환(6%, 1,804억 원), 순환계통의 질환(5.5%, 1,644억 원),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5.2%, 1,580억 원), 근골격계통의 질환(4.5%, 1,357억 원),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4.2%, 1,259억 원), 호흡계통의 질환(3.6%, 1,091억 원), 소화계통의 질환(3.2%, 976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행위에 따른 투자 분석 결과, 치료법 분야에 31.9%인 9,606억 원을 투자하였고, 그 외 기반연구(20.7%, 6,249억 원), 진단법 개발(11.5%, 3,482억 원),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8.7%, 2,621억 원), 병인규명 (6.6%, 1,994억 원), 질병 및 건강상태 관리(3.6%, 1,082억 원), 안전관리 연구(3.3%, 997억 원), 보건복지서비스 연구 (1.1%, 331억 원) 등의 순이었다. 

산출물별로는 합성 의약품(2,391억 원, 치료법 개발), 보건의료 자원 및 인프라(2,230억 원, 기반연구), 생물학 및 내인성 요인(1,698억 원, 병인규명) 등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분야 사회적 부담 측정 지표들과 연구개발 투자 지표를 비교한 결과, 사망원인 질환에 대한 보건의료기술 R&D 투자는 3년간(2013~2015) 악성신생물 2,437억 원, 심장질환 565억 원, 뇌혈관 질환 252억 원, 폐렴 49억 원, 당뇨병 945억 원, 만성하기도 질환 250억 원, 간질환 192억 원, 고혈압성 질환 102억 원 등으로 나타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