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에너지 효율 향상에 따른 건강향상 보고서 발간
[인더스트리뉴스 최홍식 기자] 지금 세계 주요국은 재생에너지 사용 및 관련 제품의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은 물론 에너지 자립과 연관이 깊다. 또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는 우리의 건강과도 많은 연관성이 있다.
![미국의 비영리기관 에너지경제효율위원회가 최근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해 최종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경우 환경오염도 개선 효과 및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발표했다. [사진=dreamstime]](/news/photo/201809/26550_17841_2835.jpg)
미국의 비영리기관 에너지경제효율위원회(ACEEE : American Council for an Energy-Efficient Economy)가 최근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해 최종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경우 환경오염도 개선 효과 및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발표했다.
미국 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등 대기오염 물질은 미국인들의 호흡기와 심혈관계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하고 있다. 미국 폐(lung) 협회는 자국민의 약 40%가 화석연료의 영향으로 건강에 해로운 수준인 환경에서 거주중인 것으로 집계 됐다.
또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21세기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중 하나다. 기후변화는 폭염과 폭우 등 극한 기상 현상을 촉발시키며, 그로인해 질병과 식량 확보문제 등 건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행사한다.
ACEEE가 분석‧보고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미국 전 지역의 연간 전력 소비량이 15% 감소할 경우 환경 및 인체 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분석했다. 에너지 효율 향상은 최종에너지 소비 단계에서의 효율 향상을 가정해 기대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미국 전역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대기질 개선이 이뤄질 경우 천식이나 심장발작과 같은 질병이 감소하고 조기사망 방지 등 질병 관련 경제적 손실 감소가 이뤄지는 효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됐다.
에너지 효율 향상 15% 이뤄지면, 1일 6명의 생명 살려
에너지 효율을 15% 이상 높이면 연간 2억8,500만톤 정도의 이산화탄소(CO2) 배출을 감소할 수 있으며, 총 2만톤 이상의 미세먼지(PM2.5) 배출을 감소하는 환경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질소산화물(NOx) 배출을 18%로 줄일 수 있으며, 아황산가스(SO2) 배출을 23%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효율 향상은 이러한 환경적 효과와 더불어 매일 6명 이상의 사람이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고 약 3만회 정도의 천식 발병건수를 감소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최대 200억달러 규모의 건강피해 방지를 이끌어 낼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인한 도시별 질병 관련 경제적 손실의 감소 효과를 살펴보면 뉴욕주에서의 효과가 10억달러로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효율 향상은 매일 6명 이상의 사람이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고 약 3만회 정도의 천식 발병건수를 감소시켜줄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dreamstime]](/news/photo/201809/26550_17842_2957.jpg)
에너지 효율 향상은 경계를 넘어 거시적으로 이뤄져야 할 문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공중보건 개선에 필요한 역량은 도시와 주 경계를 넘어 국가적인 문제이므로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노력 촉구를 필요로 한다.
미국의 에너지 효율 향상 주요 정책을 살펴보면, 산업 분야에서는 ‘에너지공급자 효율 향상 의무화제도(EERS : Energy Efficiency Resource Standards)’를 추진하고 있다. 이 제도는 2020년까지 전력판매의 20%, 가스판매의 15% 공급의무화를 통해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미국의 26개 주에서 전기 및 천연가스 절감에 대한 EERS 정책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건물과 관련해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으로는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 기준(Building Energy Codes)'을 적용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건축물 절약설계기준, 그린빌딩인증을 대표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미 연방정부는 주 및 지방차원의 설계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기준은 3년마다 설계기준이 강화된다.
그 밖에 ‘배출권 거래시장(RGGI : Regional Initiatives)’을 통해 동북 9개주 발전소의 온실가스 감축 규제 및 주 전역의 에너지 효율부문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경매수익금을 재분배하고 효율부문 투자를 통해 경제적 이익 창출을 유도하고 있다.
미국은 더 나아가 환경‧보건 상의 지역적인 불균형 해소를 통해 경제적 이익이 가장 필요한 곳에 맞춤형 정책 및 제도를 추진하기 위해 유아, 노인, 호흡기‧심혈관 질환 환자와 같은 에너지 이용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또, 가정부문의 에너지 효율 향상 정책으로 에너지 요금 경감을 통해 취약 계층의 부담 완화, 생계관련 안전사고 방지 등 에너지 복지 향상에 주력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