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과보호, 국가 제조업 경쟁력 꺾는 부메랑 됐다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1.08.24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직무가치 생산성 반영한 임금체계로 개편해야”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우리나라 제조 산업 종사자들이 주요 제조 경쟁국인 미국, 일본에 비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2015년 기준 국가별 GDP 중 제조업 비중이 독일 23%, 일본 18%, 미국 12%, 영국 10%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30%에 육박할 정도로 제조업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결코 좌시돼선 안 될 현안 문제다. 답보 상태라면 우리 경제의 근간인 제조업 성장도 더디게 할 공산이 커진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이 지난 10년간(2010~2020년) ‘제조업 근로자의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제조업 근로자의 비중이 2010년 15.7%에서 2020년 30.1%로 14.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같은 기간 30대 비중은 35.1%에서 27.8%로 7.3%p 감소해 가장 크게 줄었고, 이어서 청년층(15~29세) 비중은 21.6%에서 15.2%로 6.4%p, 40대 비중은 27.7%에서 26.9%로 0.8%p 줄줄이 감소했다.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제조업의 고령화는 성장동력 약화에 따른 산업 및 국가경쟁력 저하를 초래하고 세대 간 소득양극화 및 청년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진=utoimage]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제조업의 고령화는 성장동력 약화에 따른 산업 및 국가경쟁력 저하를 초래하고 세대 간 소득양극화 및 청년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진=utoimage]

한경연 관계자는 “최근 10년간 50대 이상 제조업 고령인력 비중이 약 2배 증가한 데 비해, 미래의 성장 동력인 청‧장년층 근로자 비중은 전부 줄어들어 제조업 인력의 노령화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고령층 임금 증가속도 청․장년층보다 높아

지난 10년간 제조업 근로자의 연령대별 임금 추이를 보면, 50대 이상 고령층의 임금 증가속도가 청‧장년층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50대 이상 근로자의 월평균임금은 2010년 260.7만원에서 2020년 409.6만원으로 연평균 4.6% 증가했다. 

한편,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은 연평균 3.6%, 40대는 연평균 3.3%, 30대는 연평균 2.5% 늘어나 고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임금 증가속도가 낮았다. 한경연은 “산업인력의 고령화로 노동생산성은 저하되는 반면, 기업의 인건비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활력이 급속히 둔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10, 2020년 제조업 근로자 연령별 월평균임금 비교
2010, 2020년 제조업 근로자 연령별 월평균임금 비교

최근 5년새 제조업 고용 급격히 둔화

한경연은 제조업 고령화의 원인으로 저출산에 따른 인구 고령화의 영향도 있지만 각종 기업 규제, 그 중에서도 엄격한 노동규제로 인해 기존 정규직은 과보호되고 제조업의 투자와 고용이 위축돼 청‧장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탓이라고 분석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2010~2015년 사이 59.7만명 늘었는데 비해, 2015~2020년 7.1만명 증가하는데 그쳐 최근 5년간 제조업 고용이 크게 위축됐음을 보여준다.

한경연은 고령층의 임금이 청‧장년층보다 빠르게 오르는 데에는 생산성과 관계없이 근속‧연령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호봉급 체계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020년 기준 100인 이상 사업장 가운데 호봉급을 도입한 곳은 절반 이상(54.9%)에 달했다. 이는 임금 결정시 직무의 중요도‧난이도 등 직무가치를 주로 반영하는 직무급(35.9%)이나 자격 취득, 훈련 이수 등 숙련의 향상정도 등을 고려하는 직능급(27.1%) 도입 비율보다 높았다.

한국‧미국‧일본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 추이 및 전망 비교
한국‧미국‧일본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 추이 및 전망 비교

10년간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 韓 3.3세↑ vs. 美 0.3세↑,日 1.2세↑ 

주요 제조업 강국인 미국, 일본과 견주어 보면, 한국의 제조업 고령화 속도는 훨씬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1년 39.2세에서 2020년 42.5세로 3.3세 오른 반면, 일본은 41.6세에서 42.8세로 1.2세 증가했고 미국은 44.1세에서 44.4세로 0.3세 오른 것에 그쳤다. 

2011~2020년 증가율을 보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연평균 0.90% 올라, 미국(연평균 0.08%↑)보다 11.3배, 일본(연평균 0.32%↑)보다 2.8배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이 추세가 지속되면 2026년부터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44.9세)은 미국(44.6세)과 일본(43.6세) 모두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봤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경제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제조업의 고령화는 성장동력 약화에 따른 산업 및 국가경쟁력 저하를 초래하고 세대 간 소득양극화 및 청년 빈곤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서 “직무가치․생산성을 반영한 임금체계로의 개편, 노동유연성 제고, 규제 완화 등이 수반돼야 하며 동시에, 교육‧훈련 강화로 노동의 질적 향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