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y News 이건오 기자] 미국에서 수제 맥주가 호황을 누림에 따라 오래된 맥주 업체들조차도 음료를 즐기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클리블랜드에서 1988년에 설립된 독립 수제 맥주 회사인 그레이트레익스브루잉(GLBC : Great Lakes Brewing Company)은 최근 제품의 품질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 생산량을 확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제조 분석 기술을 채용했다.
![]() |
그레이트레익스브루잉은 최근 제품의 품질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 생산량을 확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제조 분석 기술을 채용했다. [사진=로크웰오토메이션] |
GLBC는 자체 공장에 사물인터넷과 분석 기능을 도입하기 위해 로크웰오토메이션의 장치 분석 기술인 ‘디바이스용 팩토리 토크 애널리틱스(FactoryTalk Analytics for Devices)’ 어플라이언스를 채용했다. GLBC가 이 기술을 사용하면 맥주 제조기계의 정상적 상태를 더 잘 파악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정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그레이트레익스브루잉의 존 블라이스톤(John Blystone) 전기 및 제어 감독은 “GLBC는 생산 공정에 사용하는 재료는 물론 그 외 성분의 품질 향상에 처음부터 꾸준히 역점을 두고 맥주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해왔다”며, “공장 현장에 첨단 분석 및 하드웨어 진단 기술을 추가해 생산 장비를 더욱 의미 있게 통찰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계속 실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솔루션은 맥주 공장 현장에 있는 디바이스의 정상적 상태와 진단 자료를 분석한다. 로크웰오토메이션의 어플라이언스 안에는 ‘셸비(Shelby)’라는 봇(Bot)이 있어 자연 언어를 사용해 생산 직원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봇 프레임워크(Microsoft Bot Framework)’를 바탕으로 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인지 서비스(Microsoft Cognitive Services)’를 통해 제공되는 이 기술은 맥주 공장 직원들이 장비의 문제점을 쉽게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블라이스톤 감독은 “셸비는 공장 현장을 더 잘 연결된 환경으로 전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기존의 풍부한 데이터를 활용, 문제를 매우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GLBC가 이번에 구축한 솔루션은 기업체들이 디지털 전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로크웰오토메이션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기술 협력을 통해 개발한 구성체 중 하나다.
로크웰오토메이션 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프랭크 쿨라체비츠(Frank Kulaszewicz) 수석부사장은 “그레이트레익스브루잉은 미국 산업계가 지속적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디지털 체제로 전환하는 추세에 따라 이 솔루션을 채용했다”며, “이 기술은 엔지니어들이 실행 가능한 데이터와 통찰력을 갖고 이미 잘하고 있는 업무를 향상시키고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준다”고 전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샘 조지(Sam George) 애저(Azure) IoT 담당 이사는 “우리는 로크웰오토메이션과의 협력을 통해 제조업체들이 데이터와 심층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업무를 쇄신함으로써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했다”며, “우리의 오랜 협력 업체가 산업 및 제조 고객사들에게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