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삼성과 LG전자, 현대차가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의 투자회사 익스페디션과 함께 엔비디아의 대항마로 여겨지는 캐나다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텐스토렌트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짐 켈러(Jim Keller)는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AFW 파트너스와 삼성증권이 주도한 최근 펀딩 라운드에서 6억93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투자받은 자금은 텐스토렌트의 엔지니어링 팀을 구축하고, 글로벌 공급망에 투자하고, 기술 시연을 돕기 위한 대규모 인공 지능 교육 서버를 구축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짐 켈러 CEO는 설명했다.
텐스토렌트는 짐 켈러 CEO가 2016년 설립한 반도체 설계 전문(팹리스) 업체로, 이번 펀딩을 통해 약 26억달러의 가치를 인정 받았다. 그는 인텔에서 수석부사장을, AMD에서 부사장과 수석설계자를, 애플과 테슬라 등에서도 중책을 역임하며 ‘반도체의 전설’로 꼽히는 인물이다.
경쟁사인 엔비디아와 달리 텐스토렌트는 산업 표준을 공유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를 개방하는 등 다른 기술 제공업체와의 상호 운용성 향상을 목표로 하며, 고대역폭 메모리(HBM)과 같은 복잡하고 값비싼 구성 요소를 피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켈러 CEO는 “엔비디아가 가장 많은 HBM을 구매하고 비용 우위(cost advantag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HBM을 사용한다면 엔비디아를 이길 수 없다”면서 “HBM이 제품과 소켓에 내장된 방식으로 가격을 낮출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들 기업 외에 투자회사 피델리티, 캐나다 수출개발부, 온타리오 연금 제도, 투자사 베일리 기포드(Baillie Gifford) 등도 투자에 참여했다.
텐스토렌트의 첫 번째 칩은 글로벌파운드리에서 만들었으며, 다음 칩은 TSMC와 삼성전자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최첨단 2나노미터(nm) 제조를 위한 설계도 시작돼, TSMC와 삼성전자는 내년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며, 텐스토렌트는 이들과 2027년 2나노 생산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래피더스와도 논의 중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구본일 AFW파트너스 상무는 “텐스토렌트의 시장 내 모멘텀, 최첨단 기술로 가득찬 혁신적인 로드맵, 그리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그야말로 무적의 조합”이라며 “텐스토렌트의 여정과 성공에 함께 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