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KCGS와 MSCI ESG 평가에서도 모두 'A'등급

[인더스트리뉴스 홍윤기 기자] LG전자는 ESG 경영 상위 10% 기업을 의미하는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에 13년 연속 편입했다고 24일 밝혔다. 가전 및 여가용품 부문 국내 기업 중 최장 기록이다.
글로벌 금융정보회사 S&P 글로벌은 매년 기업의 경제적 성과 뿐 아니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해 DJSI를 발표한다. DJSI는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비교하고 사회책임투자를 결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LG전자는 올해 S&P 글로벌의 지속가능성평가 '가전 및 여가용품' 부문에서 가장 높은 종합점수를 받아 DJSI 월드에 선정됐다. ‘DJSI Asia Pacific’(아시아·태평양 지역 600대 기업 중 상위 20%) 및 ‘DJSI Korea’(국내 200대 기업 중 상위 30%)에도 각각 15년, 16년 연속 편입했다.
LG전자는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이라는 ESG 경영 비전 하에 지구를 위한 3C와 사람을 위한 3D를 전략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3C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자원순환(Circularity), 친환경 기술(Clean Technology) 등을 말한다. 3D는 안전한 사업장(Decent Workplace), 다양성과 포용성(Diversity&Inclusion), 제품과 서비스 접근성(Design for All) 등을 의미한다.
LG전자는 3C를 달성하기 위해 제품 제조 과정에서 2030년 탄소중립, 2050년 재생에너지 100% 전환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 개선, 에너지 절감 기술 도입, 재생에너지 사용 등으로 제품 생산 단계의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2)을 2017년 대비 54.6% 감축하고, UN 탄소배출권 등을 활용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회사는 지난 2015년 가전업계 최초로 UN으로부터 탄소배출권을 획득했다.
나아가 제품 사용 단계(Scope 3)에서도 7대 주요 제품군(TV,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가정용·시스템 에어컨, 모니터) 글로벌 판매 모델의 온실가스 원단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LG전자는 또 유엔 글로벌 콤팩트(UNGC) 및 RBA(책임있는 비즈니스 연합) 회원사로서 국제기구의 인권 및 노동 기준을 준수하고, 강화되는 글로벌 ESG 관련 법안에 대응하기 위한 인권경영 프로세스도 고도화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ESG 평가 및 등급 공표 결과에서 4년 연속 종합 A등급, 글로벌 ESG 평가기관 MSCI가 실시한 ESG 평가에서도 5년 연속 A등급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