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TA 면제 내년에도 적용…관광사업체 융자 등 금융지원 확대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정부가 침체된 관광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일정 범위 내 한시적 무비자 입국을 검토하기로 했다.
또 관광업계를 대상으로 한 5300억원가량의 일반융자 등 ‘관광사업체 특화 3종 금융지원’ 제도도 내년 1월부터 시행한다.
정부는 26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제9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관광시장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관광시장 활성화를 위해 방한 관광객 출입국 편의 개선에 나선다.
한·중 전담 여행사 170곳을 통해 모객한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해선 일정 범위 내에서 무비자 제도 시범 시행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크루즈 관광상륙허가제' 시범사업을 통해 크루즈 선사가 모객한 3인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도 무비자 입국이 허용된다.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인도 등 6개국 단체관광객에 대해서는 비자 발급 수수료 면제 기간을 내년 12월 31일까지 연장 적용한다.
법무부와 협의해 68개국에 대한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 조치도 내년 12월 31일까지 연장된다.
고부가 관광객 편의 증진을 위해 의료관광 우수유치기관 지정 체계 개선과 국제회의 주요 참가자 입국 우대심사대 시범 기간 연장 등도 추진한다.
아울러 1~2월 대규모 쇼핑문화관광축제 '코리아그랜드세일'을 열어 겨울철 방한관광을 유치하고, 6월에는 대형 한류 종합 행사인 '비욘드 K-페스타'를 신설해 '코리아뷰티페스티벌(6~7월)'과 연계 개최한다.
내년 3월까지 방한 단체관광객 5만 명을 대상으로 여행자보험 무료가입을 지원하고, '관광통역안내 1330' 서비스도 24시간 운영할 예정이다.
관광업계 경영 안정화를 위해서는 '관광사업체 특화 3종 금융지원' 제도를 도입한다. 이를 통해 5365억원 규모의 일반융자, 1000억원 규모의 이차보전, 700억원 규모 신용보증부 대출이 관광업계 대상으로 내년 1월부터 지원된다.
관광업계 경영 안전망 구축을 위한 500억원 규모 특별융자도 긴급 지원된다.
관광 사업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호텔업 등급 평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것과 비전문취업(E-9) 외국인력 고용허가제 본사업 전환, 카지노업 외국인 전용존 배팅 한도 상향 등도 논의한다.
관광콘텐츠 산업도 키운다. 체험 중심의 관광 흐름에 맞춘 고부가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역사와 문화, 경제 등도 관광콘텐츠로 확장한다. 전적지와 비무장지대(DMZ), 자전거, 산업, 야간관광 등으로 콘텐츠 다변화를 꾀한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최근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한국방문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인의 일상을 경험하는 그 자체가 관광"이라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어 "다만 최근 국내 상황으로 인해 방한 관광시장의 회복세가 꺾이고 방한 심리가 위축될 수 있는 만큼 관광시장이 안정되고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정부가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내년 외국인 관광객 1850만명 유치 목표를 세웠다. 이는 올해 목표치인 2000만명보다 적지만 역대 가장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은 2019년의 1750만명보다 많은 수치다.
올해 외국인 방한객은 1∼10월까지 1374만명으로 연말 비상계엄·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연간 목표 2000만명에는 이르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내년 관광사업체 매출액은 30조원, 국내 여행 지출은 40조원을 목표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