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주요국 동향, 법리 △ 공공부문 성공사례 △ 공공부문 활용 활성화 정책 대안 등 토론 예정

[인더스트리뉴스 김희선 기자] 국민의힘 의원 모임 ‘한국인공지능빅데이터연구포럼’(주최 이달희 국회의원, 최수진 국회의원, 박충권 국회의원)은 31일 오후2시 국회 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생성형AI 공공부문 활용 활성화 정책과 전략'이란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서는 생성형 AI의 국제 주요국 동향, 법리, 공공부문 성공사례, 공공부문 활용 활성화 정책 대안 등에 대한 주제 발표와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포럼을 주최한 ‘한국인공지능빅데이터연구포럼’의 이달희 의원은 "인공지능 기술은 사회 모든 분야에 걸쳐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성형AI가 창출할 수 있는 혁신적 가치를 실현하며 지속 가능한 AI 생태계를 모색하는 것은 국가적 생산성 향상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차대한 과제”라며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다양한 의견과 대안을 토대로 공공부문의 효율성과 서비스 혁신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입법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수진 의원은 “생성형AI 기술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적 기반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며 “공공 데이터의 활용과 AI 기술의 윤리적, 법적 문제, 보안 강화,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공공부문과 민간이 협력해 지속가능한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충권 의원도 “생성형AI 공공부문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상호 협력 보완하는 역할이 필요하다”며 “중앙정부는 인공지능 정책 및 서비스를 기획 지원하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해 공통으로 지방정부가 쓸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보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포럼 주제 발표는 임춘성 (주)인공지능연구원 부사장의 '생성형 AI 국내외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을 시작으로 영남대 경찰행정학과 오경석 교수의 '공공부문AX 전략', 국립군산대 행정학과 최한별 교수의 '지방정부의 AI행정혁신'이란 주제로 발표된다. 또한 송석현 한국디지털 정부학회 회장을 좌장으로 김영덕 한국입법기자협회 사무총장, 강성주 세종대 전자정부통신공학과 초빙교수, 정나영 부산시 미래기술전략국 국장, 최준영 서울연구원 대외현력센터장이 패널로 참가해 생성형AI공공부문 활용. 활성화 정책 대안에 대해 심도있는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