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美, 주한미군 병력 4500명 철수 고려… 괌 등 다른 지역 이전”
  • 한원석 기자
  • 승인 2025.05.23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美 국방 소식통 인용… “美의 대북정책에 대한 비공식 검토 일환”
아시아·태평양 미군 사령관들 “北·中·러 견제력 약화 이유로 감축 반대”
지난 3월 20일 경기도 연천에서 열린 한미 연합 ‘자유의 방패(FS)’ 연습에서 부교를 건너고 있는 미군과 한국군 K1E1 전차 모습. /사진=로이터 통신, 연합뉴스
지난 3월 20일 경기도 연천에서 열린 한미 연합 ‘자유의 방패(FS)’ 연습에서 부교를 건너고 있는 미군과 한국군 K1E1 전차 모습. /사진=로이터 통신,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주한미군 4500여명을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 국방부 관리들을 인용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 약 2만8500명 중 4500여명을 미국 영토인 괌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구상은 북한 문제에 대한 비공식 정책 검토의 일환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고려를 위해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방안은 아직 트럼프의 책상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고위 관리들이 논의 중인 여러 아이디어 중 하나라고 두 명의 관계자는 WSJ에 말했다.

이러한 논의와 관련해 미 국방부 대변인은 WSJ에 “발표할 정책이 없다(there were no policy announcements to make)”고 말을 아꼈다.

피트 응우옌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WSJ에 병력 철수 문제를 언급하지 않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complete denuclearization)’에 전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 국방부는 논평을 거부했다.

미국 관료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과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를 군사적으로 계속 지원할 것인지가 더 명확해질 때까지 (주한미군) 병력 규모에 대한 결정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WSJ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 태평양 주둔 미군 사령관들은 주한미군 병력 감축은 북한이나 동북아시아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상대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미군의) 전력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자비에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달 10일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병력 감축은 문제가 된다”며 이에 반대했다.

같은 날 해군 제독인 사무엘 파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은 주한미군 철수에 대해 “본질적으로 우리가 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언급했다.

WSJ는 “이는 아시아(안전 보장)에 대한 백악관의 약속에 대해 우려하는 동맹국들 사이에서 새로운 불안감(anxiety)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군의 주둔은 오랫동안 한반도에서 전쟁이 재개되는 것은 물론 남중국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대만을 장악하겠다고 위협하는 공격적인 중국에 대한 억지력으로 여겨져 왔다고 WSJ는 진단했다.

다만 주한미군 병력을 인도태평양의 다른 지역에 주둔시키면 병력 감축에 대한 미 국방부의 우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WSJ는 내다봤다.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올해 초 아시아를 처음 공식 방문했을 때 미국과 동맹국들이 억지력을 재구축하기를 바란다고 말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전례 없는(unprecedented)’ 변화를 약속했다.

엘브리지 콜비 국방부 정책차관은 미국이 필요하다면 핵무기로 서울을 방어하겠다는 공약을 유지하는 동안, 미국이 중국에 더 잘 맞설 수 있도록 한국이 재래식 군사력으로 자국을 방어해야 하는 부담을 더 많이 맡도록 해야 한다고 오랫동안 주장해왔다.

콜비 차관은 지난해 국방부 정책차관에 지명되기 전 X에 올린 글에서 “난 거듭 밝혔듯이 한국에서 미군을 철수하는 것에 찬성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이 북한에 대한 재래식 방어의 부담을 짊어지는 동안 주한미군을 중국에 집중하도록 재편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