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배추·무 등 주요 채소 수급 선제 대응…여름철 물가 안정 총력”
  • 이주엽 기자
  • 승인 2025.05.28 16: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추는 현재 가격은 안정적이지만 여름 재배여건 악화로 면적 감소 우려
양파, 조생종 생산량이 늘고 중만생종도 생산단수 증가로 전년 대비 3.2% 증가
정부, 여름철 이상기후, 병해충 등에 대비해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모니터링 강화
여름철을 앞두고 정부가 밥상 물가 잡기에 나선다. 농식품부는 배추·무 등 주요 채소류의 수급동향을 지속 점검하고 여름철 공급 불안에 대비한 대책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한 대형마트의 농산물 코너 모습 / 사진= 연합뉴스
여름철을 앞두고 정부가 밥상 물가 잡기에 나선다. 농식품부는 배추·무 등 주요 채소류의 수급동향을 지속 점검하고 여름철 공급 불안에 대비한 대책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한 대형마트의 농산물 코너 모습 / 사진=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여름철을 앞두고 국민 밥상에 직결되는 배추, 무, 양파, 마늘 등 주요 채소류 가격 안정을 위해 정부가 수급관리 강화에 나선다. 기상이변, 병해충 증가 등으로 공급 불안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배추·무 등 주요 채소류의 수급동향을 지속 점검하고 여름철 공급 불안에 대비한 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 배추·무, 병해충·이상기상에 재배면적 감소…예비묘 250만주 확보

배추는 봄철 출하 증가로 현재 가격은 안정적이지만 여름 작형은 재배여건 악화로 면적 감소가 우려된다. 무도 겨울 작형 저장물량 감소로 가격이 높은 편이나 봄 작형 출하가 본격화되며 안정을 찾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병해충 방제비용 지원 ▲수입안정보험 시범 도입(소득 85% 보전) ▲예비묘 250만주 확보(전년 대비 25%↑) ▲계약재배 확대 등을 통해 여름철 공급 차질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한 봄 배추·무 2만3000톤을 사전 수매비축해 가격 급등 시 도매시장 등에 방출하고 중소 김치업체에 비축 물량을 공급해 원료 확보를 돕는다.

◆ 양파, 공급 증가로 가격 안정세…3만톤 수매비축 등 추진

양파는 조생종 생산량이 늘고 중만생종도 생산단수 증가로 전체 생산량이 전년 대비 3.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매가격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양파 3만톤 수매비축 ▲저품질 물량 시장 유입 억제 ▲일부 출하 시점 연기(3000톤) ▲학교급식·외식업계 연계 소비 촉진 등으로 수급을 조절할 계획이다.

◆ 마늘, 햇마늘 출하 앞두고 일시적 가격 상승…다음달부터 안정 전망

마늘은 저장 재고가 줄어 도매가격이 높은 수준이지만 2025년산 햇마늘의 작황이 좋아 생산량이 6.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지역은 이미 풋마늘 출하를 시작했으며 본격 출하는 다음달 상순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비축마늘 450톤을 가공·공급하고 영양제·약제 등 재배지원 대책도 병행 중이다.

◆ 최대 40% 할인…전통시장·마트서 소비자 부담 경감도 병행

한편, 국산 농산물 할인행사도 확대된다. 농식품부는 대형마트, 중소형 유통점, 전통시장 등에서 국산 농산물 전 품목을 대상으로 최대 40% 할인 지원을 진행 중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여름철 이상기후, 병해충 등에 대비해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조성해 나가겠다”며 “국민 먹거리 물가를 지키기 위한 선제적 대응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