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확보가 과제, 갈길 먼 가상발전소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4.25 0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상발전소는 분산 에너지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전력 수급과 공급의 변수를 사전에 예측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요관리 차원에서 접근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태양광과 ESS 설치비용이 발목 잡는 형국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찻잔 속의 태풍이 되고 말 것인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인 IoT와 ICT 기술이 응용돼 많은 관심을 받았던 가상발전소 구축 열기가 점차 식어가고 있다. 야심차게 추진됐던 해외 가상발전소 프로젝트들이 이렇다 할 진전을 보이지 못하면서 후속 사업 논의도 쏙 들어갔다. 가상발전소 구축을 통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정전 대비 등 수요관리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밋빛 청사진이 무색해지고 있다.

원전과 화력발전 중심에서 친환경, 재생에너지원으로의 에너지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분산형 소규모 전원의 발전량 비중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분산자원은 그 자체로 작은 규모이고, 수요가 집중되면서 설치도 확대돼 이들을 제대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일 역시 어려워지고 있다.

가상발전소는 태양광 등 분산 자원의 전력시장에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사진=dreamstime]
가상발전소는 태양광 등 분산 자원의 전력시장에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사진=dreamstime]

가상발전소 경제성은 '아직'

가상발전소는 분산형 자원의 전력시장에서 전력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또 이들을 하나의 발전시설로 묶어 통합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계획발전과 예비력 등을 통해 중앙급전발전시설로 활용이 가능하다. 가상발전소가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ESS 등 분산형 에너지자원을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통합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배터리 제조업체인 코캄, 선버즈와 함께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가상발전소 사업 공동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당시 한전은 “미국 비하인드 더 미터 시장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사업영역 확대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여기까지다.

한전 해외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관계자는 통화에서 “미국 전력시장은 시간대별로 요금의 차이가 있고, 캘리포니아 등 넷미터링이 가능한 지역도 있지만 실제 개별가구에서 전력거래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며, “따라서 현재로서는 태양광과 ESS 설치비용 대비 전력절감을 통한 수익발생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고 밝혔다.

가상발전소 개념도 [사진=한국전기연구원]
가상발전소 개념도 [사진=한국전기연구원]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현지에서 태양광과 ESS를 5kW 규모로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2만 달러이다. 시설 투자비용이 높아 보조금 개입 없이는 활성화 될 수 없는 구조이다. 또 발전사업자가 전기사업자에게 전기를 판매하고 이를 다시 전기사업자가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구조라 전기요금 절감도 쉽지 않다.

가상발전소 1조원 시장 열린다

실제 상황이 이럼에도 시장조사기관인 P&S 마켓리서치는 가상발전소 시장이 2023년 경 약 11.8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계통연계에 따르는 대규모 설비의 투자가 요구되지 않고, 산재한 분산전원을 통해 수요자원 관리프로그램을 가동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면서 효율적인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임에는 틀림없기 때문이다.

수도권 ESS 업체 관계자는 “국내에서 가상발전소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설비 구축 비용이 내려야 함은 물론이고, 결국 가상발전소를 통한 전기사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제도화되어야 한다”며 제도개선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