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태양광 48GW 설치한 ‘중국’, BIPV 시장 활성화 나서
  • 이건오 기자
  • 승인 2021.02.22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0·60 탄소중립 목표 이행 위한 건물 탄소 배출 저감 정책으로 탄력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 세계적인 노력과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도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특히, 탄소 배출이 많은 도심의 빌딩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을 넘어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는 적극적인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 소비가 이뤄지고 있는 중국도 동일한 흐름에 있다.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밝힌 중국 국가에너지국(NEA) 발표 재생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중국 재생에너지 설비규모는 전년보다 17.5% 증가한 934GW에 달했다. 그 중 수력은 370GW(양수발전 약 31GW), 풍력 281GW(육상 272GW, 해상 9GW), 태양광 253GW, 바이오매스 약 30GW를 기록했다.

[]
중국의 2020년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규모는 풍력 약 72GW, 태양광 약 48GW를 기록했다. [사진=utoimage]

2020년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규모는 수력이 13GW를 기록했으며, 풍력은 약 72GW(육상69GW, 해상 3GW), 태양광은 약 48GW(집중형 약 3GW, 분산형 약 15GW), 바이오매스는 5.4GW에 달했다. 여기에서 태양광 집중형 발전은 6MW 이상, 분산형 발전은 6MW 미만 설비를 의미한다. 발전량 기준에서 보면, 202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전년보다 8.4% 증가한 2,215TWh에 달했는데, 그 중 수력은 1,35TWh, 풍력은 467TWh, 태양광은 261TWh, 바이오매스는 13TWh로 모두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지방정부, BIPV 활성화 기반 마련

재생에너지 시장의 확대와 성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중국은 최근 건물일체형태양광(BIPV)에도 힘을 싣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의 20여개 지방정부에서 BIPV 사업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및 목표 수립, 보조금 지급, 우대 정책 등의 정책을 내놨다.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는 외벽면, 창호, 지붕 등 건물 외관에 태양광발전 모듈을 장착해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기를 건축물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 중 후베이성은 BIPV 사업 성과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할 계획이며, 후난성은 2만m이상의 공공건물에 1종 이상의 재생에너지원을 적용할 계획이다. 베이징시는 조건에 부합하는 친환경 건축물사업에 kWh당 0.4위안(약 70원, 세금 포함), 프로젝트당 최대 80만 위안(약 13억7,216만원)의 보조금을, 상하이시는 BIPV 시범사업에 m2당 45위안(약 7,750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BIPV 사업은 중국에서 몇 년 전부터 대기업 위주로 시작됐으나 2020년 들어 국가정책, 비용절감, 기술발전, 탄소배출저감 등을 이유로 사업이 본격 확대되고 있다.

[]
중국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BIPV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새롭게 내놨다. [사진=utoimage]

2020년 7월, 국가주건부(國家住建部),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공업정보화부, 인민은행 등이 ‘친환경 건물 설립 방안’을 통해 2020년까지 도시 신규 친환경 건물 설립면적을 70%까지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BIPV 사업은 그동안 비용부담으로 추진이 어려웠으나, 10여년 간 태양광관련 비용이 약 90% 하락하면서 BIPV 사업의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과 투자회수율(ROI, Return on investment)이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태양광발전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국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 가격의 경우, 2010년 W당 20위안에서 2020년 1.3위안으로 93.5% 하락했다.

BIPV 관련 기술이 발전하고, 발전효율이 증가하면서 BIPV 발전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긍정적 요소로 파악되며, 건물부문 탄소배출량이 세계 에너지소비에서 36%의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시진핑 주석이 ‘30·60 탄소중립’ 목표를 제안하면서 건물부문에서 탄소배출 저감이 주요 정책 방향으로 설정된 것도 영향을 주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제75차 유엔총회에서 밝힌 ‘30·60 탄소중립’ 목표는 2030년을 정점으로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8년 중국 건물부문 에너지소비량은 21.47억tce로 총 에너지소비량의 46.5%를 차지했으며, 탄소배출량은 49.3억tCO2로 탄소 총배출량의 51.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내 언론에 보도된 업계관계자는 “향후 친환경·에너지절감 건물이 대세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최종 형태는 건물 자체에 신재생에너지설비를 갖춤으로써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에너지공급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제로에너지빌딩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BIPV 사업이 초기 단계인 만큼 기술표준, 규제, 검사·인증 시스템이 부족하다”며, “관련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선 국가 차원에서 빠른 시일 내에 국제수준의 표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