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하 HD)이 국책과제인 ‘대면적 박형 HJT 태양전지 및 모듈 양산기술 고도화’ 프로젝트의 주관사로 선정됐다.
해당 프로젝트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과제로, HD를 포함해 국내 부품·장비 생산 기업 및 대학 등 8곳이 참여한다.
HD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26년까지 초고효율 대면적(M10급) HJT 태양전지 양산에 나설 계획이다.

현재 20% 초반 수준인 태양광 제품의 발전효율을 26%까지 높이는 게 핵심이다. HJT 관련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 및 상용화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과제를 통한 태양광산업 생태계 활성화 효과를 기대한다.
HJT(Hetero-junction Technology, 이종접합 기술)는 단결정 실리콘에 비정질(非晶質) 실리콘을 코팅한 구조로, 광전환 시 표면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제조공정도 비교적 단순하다.
특히 단위면적당 발전량이 많은 장소(도심 고층 빌딩, 전기차 등)에서 활용성이 높다. 미래 초고효율 태양광 기술 ‘탠덤(Tandem)’과의 호환성도 기대 요인이다.
독일 태양광 시장조사기관 ITRPV에 따르면, HJT를 비롯한 고효율 N타입 태양광 제품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오는 2026년 50%를 넘어설 전망이다.
HD 관계자는 “국내 산학연 기관들과 협업해 탠덤 태양전지 기술개발에 나서는 한편, 현대자동차와는 탠덤 모듈 원천기술 개발에 착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국책과제를 통해 초고효율 HJT 기반의 탠덤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